-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노인의 의료·복지서비스 이용 실태 및 정책과제: 기능장애 노인을 중심으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촌노인 건강 및 의료·복지서비스 실태
제3장 기능장애 농촌노인의 의료·복지서비스 이용 및 공급
제4장 국내외 기능장애 농촌노인 관련 의료·복지서비스 정책
제5장 기능장애 농촌노인의 의료·복지서비스 정책 개선방향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농촌에서 노인의 건강과 돌봄은 중요 과제이다. 나이가 들수록 건강이 악화되어 돌봄이 필요하지만, 그들은 자신의 오랜 삶의 터전인 지역사회 내에서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가기를 원한다. 이러한 노인의 욕구에 맞추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일상생활활동에 어려움이 있는 기능장애 농촌노인이 지역사회에서 원활하게 생활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의료·복지서비스가 중요하다. 그러나 서비스 자원이 부족하고 이동거리가 긴 농촌의 특성상 기능장애 농촌노인은 의료·복지서비스 접근성이 낮을 수밖에 없다.
기능장애 농촌노인이 지역사회 내에서 스스로 생활하는 데 필요한 의료·복지서비스는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이용에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그 실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는 현재의 기능장애 농촌노인뿐만 아니라, 나이가 듦에 따라 신체적 건강 악화 및 기능 제한을 경험할 수 있는 농촌주민 모두의 관심사일 것이다.
이 연구는 농촌노인, 특히 일상생활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기능장애 농촌노인의 의료·복지서비스 이용 실태를 살펴보았다. 조사에서 나타난 기능장애 농촌노인의 서비스 이용 문제점을 바탕으로, 서비스 접근성을 개선하고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Population aging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subject for our society to cope with because the number of older adults who need various medical and social supports have increased sharply. Older adults would like to stay in their community as they age; health and social services, home- and community- based services, help them remain in the community independently. However, rural older adults consistently have been excluded from the public social and health services. In particular, rural older adults with functional disabiliti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accessing those services because of their limited mobility and rural environment where social resources are insufficient.
Previous studies mostly focused on service delivery systems for older adults and linkage of health and social servic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ervice use of rural older adults with functional disabilities and identified the barriers that hinder them from accessing and using health and social services.
To identify the barriers of service use,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among rural older adults and health and social service providers in rural areas. Additionally, qualitative interviews among rural older adults with functional disabilitie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ir use of services and difficulties accessing servic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lso carried out to identify the problems delivering services to rural older adults with functional disabilitie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ural older adults with functional disabilities suffer from physical and mental health deterioration. They visited doctor’s office more often than healthy rural older adults. Similarly, they more often used social services than rural older adults without functional disabilities. However, they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unmet service need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hich means that rural older adults with functional disabilities receive insufficient health and social services for their health status. The main barriers to access health and social services for rural older adults with functional disabilities were their limited mobility, lack of transportation, insufficiency of services, and financial burde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building up a regional system to manage various social and health services and deliver the collaborated services to rural older adults. To improve the delivery system, this study suggested future policy directions and proposed several plans for rural older adults with functional disabilities.
Researchers: An Sok, Park DaeShik, and Kim KyungIn
Research period: 2016. 11. ∼ 2017. 5.
E-mail address: anso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9377
-
좋아요3
-
다운로드465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글로벌 식품안전정책 변화에 따른 국내 대응방향
- 이전글
- 전주시·전주농협 전주푸드 상생협력방안 구축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