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2016년 농업·환경분야 OECD 연구동향 분석 및 대응방안 수립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제41차 OECD 농업환경공동작업반 회의
제3장 제42차 OECD 농업환경공동작업반 회의
제4장 UN 지속가능개발목표와 한국 농업
제5장 신기후체제와 한국 농업
제6장 결론 및 제언
요약문
지속가능한 개발과 녹색 성장, 기후변화, 식량 안보는 최근 국내외에서 끊임없이 제기되는 화두이다. 대부분의 인간 활동은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서 엔트로피 증가로 귀결되며, 이러한 산업 활동이 환경의 자정 작용을 넘어설 때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를 유발한다. 농업은 여타 산업과 같이 환경 오염원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자원 순환 및 생물다양성 유지 등 환경에 긍정적 외부효과를 지니는 특성을 가진다. 이런 점에서 농업 부문에 대한 정책 접근은 하나의 산업으로 국한해서 접근하는 것을 넘어서, ‘농업’과 ‘환경’의 상호 관계를 연구하고 사회적 편익을 극대화하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OECD 농업환경공동작업반(Joint Working Party on Agriculture and the Environment)은 농업과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최신 이슈를 공유하고, 회원국이 중요하다고 선정한 농업·환경 문제를 함께 고민하며, 각국 전문가의 의견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기회와 장을 제공하는 곳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2016년에 개최된 OECD 농업환경공동작업반 회의 의제를 분석하여 최신 농업·환경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한국 농정의 대응 방향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document discussed in the 41st and 42nd OECD Joint Working Party on Agriculture and the Environment (JWPAE) meetings and provide the Korean position and additional comments about each document of the meetings. Also, the researchers attended the OECD JWPAE meetings in Paris in order to provide professional opinions and available data information, and we reviewed how to apply the meeting results to the Korean agricultural sector policie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UN Sustainale Development Goals (SDG) and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New Climate Regime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agricultural policies.
In the 41st JWPAE meeting, green growth (energy use and efficiency in agro-food chain), agriculture water hotspots, climate change and agriculture (synergies and trade-offs betwee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policies coping with climate change), barriers to the climate-friendly agricultural policies, evalu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of agricultural policies, biodiversity (land use and ecosystem services in agriculture), unintentional results of nitrogen cascade in conservation,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international trade were discussed. In the 42nd JWPAE meeting, the same agenda including green growth, agricultural water hotspots, evalu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of agricultural policies, climate change and agriculture, biodiversity, in addition to collection and dissemination of agri-environmental indicators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we summarized about the SDG and New Climate Regime in this report and how to match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agriculture policies in accordance with the SDG and climate-smart agriculture (CSA) system as an alternative for the New Climate Regime.
We would like to take opportunities to prepare JWPAE meetings in advance, strengthen the network among OECD member countries, and to introduce and apply the advanced foreign case studies and theoretical frameworks to the Korean agricultural sector and environmental issues. Moreover, the final report of this study can be used disseminate the recent trends of OECD JWPAE discussions and share information about them. We also expect that this kind of information sharing would help to collect Korean experts’ opinions about the next JWPAE agenda and to make Korean delegation's comments and opinions more elaborate and logical.
Researchers: Lim Youngah, Kim Booyoung, Lee Hyejin, Kim Chang-Gil
Research period: 2016. 4. ∼ 2016. 11.
E-mail address: limy@krei.re.kr, bkim73@krei.re.kr, hyejinlee@krei.re.kr, changgil@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2267
-
좋아요1
-
다운로드8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대경권 영천 농산물 유통단지 조성계획 수립 연구
- 이전글
- 농지은행사업 개편을 통한 농지이용 효율화 방안 연구: 요약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