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 지역의 사회적 경제 실태와 활성화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 연구 검토
제3장 관련 법제·정책과 조직 현황
제4장 사례 연구: 농촌의 사회적 경제 조직 탐색
제5장 농촌의 사회적 경제 조직 실태
제6장 농촌 지역의 사회적 경제 연결망과 거버넌스
제7장 요약 및 제언
요약문
사회적 경제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협동조합 기본법 제정 등 사회적 경제 조직 관련 법 제정, 정책 사업 추진과 함께 가속화되고 있다. 농촌 지역에서도 사회적 경제 조직은 양적으로 증가하고 그 입지를 넓히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이 협동조합을 조직하여 당면 문제를 해결하는 등 활발한 움직임이 드러나고 있다.
농촌 지역이 안고 있는 여러 분야의 문제들에 대한 대응 측면에서 사회적 경제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주민들의 자율성과 적극성을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 전략이라는 점에서도 그 가치와 가능성을 높이 살 만하다. 이러한 사회적 경제 실천이 활성화되려면 현 상황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주민의 주도성, 연대 등 사회적 경제의 원리에 기초한 사회적 경제의 실천은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으로 볼 때 사회적 경제의 기반을 잘 마련하는 것은 농촌 지역이 당면할 다양한 문제 상황 해결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농촌 지역의 사회적 경제 조직 실태를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 경제 조직들의 네트워크와 지방에서의 관련 거버넌스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Research Background
Recently, as the structure of rural population has become more complicated, a social exclusion problem is becoming more severe. There are some rural residents who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for themselves by using a bottom-up approach in rural area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some legislation or policies that contain the concepts of social economy in them. In the field of policy study, there is a discussion about the possibility of using social economy strategies in the perspective of rural development based on some domestic or foreign cases. However, discussions about how the rural policies can embrace social economy strategies more specifically are rarely accomplish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ituation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rural areas in depth and comprehensively to establish a logical or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legislative system and the various policies regarding the social economy.
Research Method
In order to carry out research, various methods and data were employed. Several preceding researches have been reviewed in order to grasp the trend of theories and discussions about the social economy.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has been conducted by examining policy materials such as regulations and law regarding the social economy and performing a survey, an interview and a case study. The survey, the interview, and a literature investigation have been utilized to study social economy networks.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we drew some policy tasks to be solved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social economy in rural areas. The subject of study is limited to the newly emerging type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such as self-support businesses,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community businesses, and rural community corporations.
Conclusion and Implication of Research
The number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rural areas is presumed to be about 2,500 to 3,000, and more than half of these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during the past three years. Employees of newly formed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ccount for 1.1~1.4% of whole employees in the areas and the ratio has shown rapid increase lately.
The ‘social purpose’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rural areas is mostly to offer a job opportunity to socially disadvantaged class or social services. More than half of these organizations are managing their work in the field of agriculture or agriculture-related fields. While the most important financing source is sales income, profits from offering public services also account for about 12.6% of the total finances.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usually reinvest their profit or surplus and 12.5% of their profit or surplus are returned to society. The biggest problem in terms of management is ‘lack of funds’. Only about 10% of rural local governments have built a foundation for forming governance with the social economy sector by modifying ordinance.
There are some policy suggestions to revitalize the social economy in rural areas.
First, the social economy should be based on the needs of local people. By attaining more broad supports from the local society members, one organization could widen their market opportunity and utilize social capital more easily. Second, networks among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should be deepened and expanded. While the institute of social economy unity should take the lead in supporting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establishment process, local governments or lower level agents than them should be constructed as the principal agents assisting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t is necessary to broaden ‘relationship transaction’ among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nd form an investment network to retain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economy. Third, a vertical governance system should be overcome and localization of social economy governance needs to be accelerated and be more applicable on the ground. Detailed guidelines should be reviewed and improved to propel policies building a partnership with the social economy sector and convey services in rural areas. Finally, the role of local governance should be defined to promote governance which is based on the partnership with the social economy sector. Ordinances should be enacted or modified so as to includ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offering public services by contract with the public sector or preferential procurement of products from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addition, social economy support institutions need to be established and they should be supported to perform their supporting role under no partitions in terms of using funds or other resources and be given funds for operating costs, especially labor costs.
Researchers: Kim Jeongseop and Lim Jieun
Research period: 2015. 1. ~ 2015. 10.
E-mail address: jskkjs@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7357
-
좋아요4
-
다운로드177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대형마트 휴무제에 따른 농업분야 파급영향과 대응방안
- 이전글
- 농촌주민 보건복지서비스 연계의 경제적 효과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