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가경영안정지원제도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2/2차년도)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업경영위험 실태와 정책 지원 필요성
제3장 농업경영안정지원제도 평가와 주요 쟁점
제4장 농업경영안정지원제도 개편방향
제5장 주요 지원제도 개편 및 확충 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산물 시장개방에 따른 수입농산물 공급 증가, 투입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농가교역조건의 악화, 자연재해의 빈도 증가와 광역화 등으로 농업경영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농업경영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소득보전 방식의 직접지불제, 농작물재해보험, 경영회생지원제도 등 다양한 형태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농업경영안정지원제도의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먼저 품목별·농가특성별 경영위험 실태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현행 지원제도 운영에 따른 쟁점과 개선과제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이 연구는 농업경영위험 실태, 주요 지원제도의 핵심 쟁점, 농업경영안정화를 위한 제도 개편 방향, 주요 제도별 개편 및 확충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농업정책의 비전과 그에 따른 농업경영안정지원제도의 목표를 제시하고, 개별 지원제도 단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직접지불제도의 경우, 정책 개편방안은 물론, 형평성 제고방안, 경영비 상승 대응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농작물재해보험은 대규모 자연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과 현행제도의 내실화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농업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경영회생지원체계 확충방안과 시장조성기능 활성화 차원에서 자조금 및 수급안정지원제도의 경영안정기능 강화방안도 제시하였다.
Farm Management Risk and the Need for Polic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farm management risks for specialized farmers who have a high dependence on agriculture income in the industrial aspect. Moreover, this study analyzes major issues of a current Farm Management Stabilization Support System (FMSSS) and presents reform and expansion plans of this support system.
The farm management risk is increased by high supply volatility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nd animal diseases, low rates of turnover in accordance with the long growing season, rising input prices, and increasing supply of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in accordance with market openness.
A result of farm household economy analysis shows that specialized farmers who have a high dependence on agriculture income are exposed to greater risk than the general farmers since the specialized farms’ agriculture income decrease more and they have a higher debt compared to the general farmers. It is necessary to have a systematic farm management support system in order to stabilize the management risk by reducing the price and supply volatility.
Meanwhile, as a result of FTA implementation with 11 countries the tariff of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will be gradually eliminated. Increasing agricultural imports will raise farm management risk such as a decline in production and investment of farmers and rapid declines in prices of agricultural product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farmers with the FMSSS that is different from what the USA or EU, a huge exporter of agricultural products, does to reduce the impact of market risk.
Current Issues and Reform Direction
FMSSS consists of various programs to manage farm risks. But it should be developed in some parts. 1) The goals of FMSSS should be more clear. 2) Different approaches to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crop and risk. 3) The budget of FMSSS is too concentrated on the rice industry. So, it should be allocated to other crops. 4) The purpose of most FMSS programs is stabilization of price and balance of supply-demand in the short term, and they are post measures. So, we need to design long-term and pre-measure programs. 5) The policy target and purpose of FMSSS should be clarified. And the organic linkage between programs is also important.
Reform Concep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ision of agricultural policy should be “to realize the harmony between agriculture,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rough agriculture as a sustainable industry.” And it also suggests that the goal of FMSSS should be “to stabilize farm management, to guarantee a reasonable standard of living, and to realize sustainable agriculture.” The following are ways to achieve the objective.
1) We need a social consensus about the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rural society. 2) We need to cope with the risk of declining profit due to a rapid decline of price, increasing operating costs, direct impact of market openness. 3) We need to support the reasonable standard of living through the stabilized farm management conditions.
Researchers: Park Joonkee, Oh Naewon, Ji Sungtae, Lee Hyunkeun, Jeong Hoyeon
Research Period: 2015. 1. ~ 2015. 12.
E-mail address: jkpar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5882
-
좋아요0
-
다운로드132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농촌 정책지원을 위한 통합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기초연구(1/2차년도)
- 이전글
- 대북 식량지원프로그램 구축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