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지역별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2014.02.28 66568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정책연구(P207)
  • 저자
    김병률, 김성우; 김윤진
  • 등록일
    2014.02.28
  • 연구주제
    농업생산유통.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생산자조직 중심 산지유통개선
제3장 지방도매시장 활성화
제4장 농식품 직거래 활성화
제5장 6차산업화를 통한 농식품 유통개선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정부는 농산물 유통개선을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로 선정하여 경로 간 건전한 경쟁 환경 조성과 불필요한 유통비용 절감, 유통단계 축소를 통해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유통생태계를 만들고자 하였다.

이에 2013년 5월 27일 유통구조개선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직거래 활성화, 도매시장 거래제도 개선과 시설현대화, 생산자단체를 통한 유통계열화, 농산물 수급조절과 가격안정대책을 집중 추진하였다.

이 연구는 정부의 농산물 유통구조정책을 생산자조직 중심의 산지유통개선, 도매시장 유통개선, 직거래 활성화, 수급조절정책으로 구분하여, 수급조절정책을 제외한 3가지 정책범주와 6차산업화를 통한 유통개선을 포함하여 사례연구를 4가지로 구분하여 추진하였다.

각각의 연구주제에 대한 현황과 정부정책 추진상황에 따라 전반적인 점검을 통한 진단과 문제점들을 도출해 내고, 각 지역의 사례 조사분석과 함께 개선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 단위에서 산지 생산자조직 중심의 유통계열화 등 산지유통개선, 직거래 및 로컬푸드 활성화, 지방도매시장 활성화 등 유통개선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성공(또는 실패) 요인들을 도출하여 분야별로 전국적인 차원의 유통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Background of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strategies of an agricultural marketing system, including distribution systematization centered on producer organizations, and vitalization of direct transactions, local food, and local wholesale markets,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 case study.
The Park Geun-hye government is creating a healthy competitive environment between distribution channels by selecting the improvement of the agricultural marketing system as one of the major national tasks, and aims to create a sustainable distribution system for farmers and consumers by reducing unnecessary distribution costs.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focusing on promoting direct transactions, improving the wholesale market trading system, modernizing facilities, systematizing distribution via producer organizations, controlling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and stabilizing price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derived improvement plans by field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 policy.
First, it is needed to complement the government's policy to improve the agricultural distribution system for vertical integrations. It is required to scale up shipments in producing sites, specialize in marketing, and enhance bargaining power.
Second, local wholesale markets should be activa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agricultural distribution system.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the public local wholesale markets, adopt an approval system for the wholesale market workers and specify the validity period, and build the "shipment under reservation" systems and intermediate unloading systems.
Third, the number of farmers' markets should be increased. Also,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professional staff for farmers.
Fourth, the agricultural distribution system needs to be improved through 6th industrializa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direct transactions and co-marketing linked with local farmers' markets, online shopping malls, and hypermarkets to introduce a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6th industrialization, and to develop a program to create mutual benefits through the linkage of regions.
The Government's policy of improving the agricultural distribution system can be successful through concrete action in the market and each region. In particular, it is needed to continually discover the cases of success and failure of distribution and wholesale market operation, direct transactions, and the 6th industrialization and to accelerate marketing improvement through efforts to create and spread a variety of successful models.


Researchers: Kim Byungryul, Kim Seongwoo, Kim Yoonjin
Research period: 2013. 9. ~ 2014. 2.
E-mail address: brkim@krei.re.kr

저자정보
김병률Kim, Byoungryul
명예선임연구위원
소속: 관측디지털분석팀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김병률Kim, Byoungryul
명예선임연구위원
소속: 관측디지털분석팀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66568
  • 다운로드
    271
다음글
중국의 인삼산업 현황과 육성 정책 : 중국 동북3성 지역 중심
이전글
중국의 농축산물 유통실태 및 수출지원정책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