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공공데이터 오픈 API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쌀 관세화 전환과 양정과제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쌀 관세화 유예 20년의 경과와 평가
제3장 쌀 관세화 전환을 둘러싼 주요 쟁점
제4장 외국의 사례
제5장 WTO 통보와 2015년 관세화 이행
제6장 향후 양정과제
요약문
UR 협상 이후 20년간의 쌀 관세화 유예 특별조치가 2014년 말로 종료된다. 정부는 내년부터 관세화 전환 방침을 확정하고 지난 9월 말에 수정양허표를 세계무역기구에 통보하였다. 관세화 전환에 앞서 다수의 정책토론회, 공청회 등이 개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찬반논리가 계속 대립되고 있다. 관세화 전환 이외에 현실적으로 선택 가능한 대안이 없다는 의견과 관세화 유예를 지속하는 현상유지 주장이 있으나 관세화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그동안 제기되었던 쌀 관세화 관련 쟁점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WTO에 통보한 관세율을 기초로 관세화 이행 시 의무수입물량 이외 수입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아울러 향후 관세감축 가능성, 국제가격 급락 가능성 등 쌀 관세화 관련 우려들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관세화 전환의 배경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관세화 전환과 관련된 불안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양정과제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As results of the UR agreement and the 2004 rice negotiation, the delayed tariffication as special treatment which is lasting for 20 years will be expired in December, 2014. The Korean government set a rice import tariff rate at 513% and turned in country schedule to WTO on 30 September, 2014.
There are pros and cons regarding the argument that Korea will have to change rice import system to tariffication from the first day of January, 2015. Most of experts assert that there might be no extra rice imports over MMA volume in spite of rice tariffication. Some argue that it is possible for Korea to continue delayed tariffication without any increase in mandatory rice impor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organize the issues related to rice tariffication and analyze the possibility of extra rice imports over MMA volume, particularly, considering 513% tariff rate. Moreover, it is needed to review expressed concern about rice tariffication such as potential risk of reduction in the tariff rate and sudden decrease in international rice price.
This paper provides backgrounds of rice tariffication, its impacts on rice markets after 2015 and direction of rice policy.
Researchers: Kim Tae-hun, Park Dong-gyu, Seung Jun-ho
Research period: 2014. 8. ~ 2014. 12.
E-mail address: taehu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38477
-
좋아요0
-
다운로드76
같은 분야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미래농업 대응 신성장 산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이정민2024.10.30KREI 보고서 -
공공형 계절 근로 시범사업 성과와 과제
엄진영2023.11.30KREI 보고서 -
2018~2022년 농가경제 심층분석
민선형2024.04.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김문길2023.12.30KREI 보고서 -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마상진2023.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축 사육단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이용건2023.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재정 세입 구조 개선 연구
김미복2023.10.30KREI 보고서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2023.04.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중국의 곡물산업 동향과 한·중 식량안보 협력방안
- 이전글
- 2014년도 농업·농촌분야 OECD 연구동향 분석 및 대응방안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