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통한 농촌산업정책 개선 방안

2014.12.30 31491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연구보고(R735)
  • 저자
    김광선
  • 등록일
    2014.12.30
  • 연구주제
    농촌개발및산업.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촌산업의 혁신환경 분석과 육성정책 평가를 위한 지역혁신체계 분석의 틀
제3장 농촌지역의 혁신환경과 혁신경로 구조
제4장 농촌산업 육성정책의 내용과 주요 정책사업 평가
제5장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통한 농촌산업 활성화 사례
제6장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통한 농촌산업 육성의 방향과 과제

요약문

우리 농촌경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대외적으로도 개방 압력이 강화되고 있다. 이런 상황 하에서 우리 농촌은 지역경제의 기반을 다각화 하고 지역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지역의 혁신역량을 증대하여 농촌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적 노력에 앞서 과연 우리 농촌산업의 지역혁신역량 실태는 어떠한지, 혁신을 창출하는 지역적 구조는 어떠한지 등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부족하였다. 농촌산업 육성을 위한 그간의 정책사업들이 지역의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농촌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달성할 수 있는 정책적 요소들을 갖추었는지에 대해 평가 역시 부족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농촌 지역혁신체계 투입-산출 모형’을 활용하여 농촌지역의 혁신환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들의 정태적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PLS-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농촌 지역혁신체계의 혁신경로 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 모형의 분석틀을 기존에 추진되어 온 농촌산업 육성사업 평가에 활용함으로써 지역혁신체계의 이론적 관점에서 정책평가를 실시하였다. 충북 증평군과 전북 완주군의 사례 조사를 통해 우리 농촌에서 산업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유형의 지역혁신체계 모형이 구축될 수 있음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The proportion of agriculture in rural economy of Korea has been continuously reduced, and the external pressure from abroad for domestic market opening has been also dramatically increas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Korean government has strived to diversify the rural economy and to develop rural industrie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has focused policy efforts on enhanc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rural areas for a long time by building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However, prior to such policy efforts we should have performed systematic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s of regional and local innovation capacities of rural industries. We also lack information and knowledge of the structures of regional innovation processes of rural industries. These have caused lack of systematic evaluation of existing rural industrial policies, especially individual policy elements and policy systems as well.

This study has a purpose to analyze regional innovation factor conditions of rural industries and the structure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rural area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analysis of regional innovation environment by‘regional innovation system input-output model of rural areas’and analysis of innovation path structure in rural areas by‘PLS-structural equation model’and so forth. This study also performed case studies of 2 regions and policy evaluation of existing related rural industry development programs.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some policy directions for rural industrial development based o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this study also proposed a few of policy strategies to construct sustainable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rural areas.

Researcher: Kwang-Sun Kim
Research Period: 2014. 1.~2014. 10.
E-mail Address: yeskskim@krei.re.kr

저자정보
김광선Kim, Kwangsun
연구위원
소속: 농촌정책연구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김광선Kim, Kwangsun
연구위원
소속: 농촌정책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31491
  • 다운로드
    43
다음글
창조농업 실현을 위한 ICT 기술융합의 전략과 과제
이전글
지역특화 농산업 추진실태 평가와 발전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