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동북아농정연구포럼(FANEA) 2014 활동보고서

목차
제1장 FANEA 운영 현황
제2장 2014년도 주요 사업별 추진실적
요약문
동북아농정연구포럼(FANEA)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중국농업과학원 농업경제발전연구소(IAED/CAAS), 일본농림수산성 농림수산정책연구소(PRIMAFF)와 함께 한·중·일 3개국 농업·농촌정책 관련 정보 및 자료의 교류와 학술 활동 촉진을 목적으로 2003년 설립된 포럼이다.
FANEA는 설립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 3개 기관이 공동주최하는 국제심포지엄을 매년 개최해 오고 있으며, 2003년 10월 제1회 국제심포지엄(한국 서울 개최)을 시작으로 2014년 6월, 제10회 국제심포지엄이 우리나라에서 개최되었다. 제10회 국제심포지엄은 ‘농업의 6차 산업화와 신가치 창출'을 주제로 한·중·일 3개국 전문가들이 각국의 현황과 지원정책을 발표하고 공동의 관심사에 대해서 토론하였다.
이 보고서는 2014년도 동북아농정연구포럼(FANEA) 사업의 활동보고서로 제10회 국제심포지엄 발표논문 전체를 수록함으로써 정부, 학계, 농업 관련기관 등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The 10th FANEA international symposium was held on June 12, 2014 at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ix papers were presented and discussions ensued among experts from Korea, China and Japan on the theme of “The Six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the Creation of New Value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From the Korean side, President Choi Sei-kyun of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nd five researchers from the institute participated in the event as a moderator, a speaker and discussants. China and Japan also took part with six and seven members. Among them were Qin Fu, Director General of the Institute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Development (Chinese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and Yoshimura Kaoru, Director General of Japan's Policy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he three institutions decided to perform the joint study on the six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in Korea, China and Japan from December 2013 to June 2014, and published a report of the three countries’ research results through this symposium.
In all the three nations, rural areas’ negative changes, including the aging and decreasing population and the widening urban-rural income gap, have become an obstacle to vitalizing the areas, although the degree and the period are different. To slow or reverse this phenomenon, it was agreed that the re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and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local industrie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the sixth industrialization centered on agriculture. Based on this awareness, the three countries analyzed cases through joint research, drew vitalization plans given each nation’s policy environment, and shared the results in this FANEA symposium. It is especially evaluated to be very meaningful that the sixth industrialization plans were drawn from each nation’s new viewpoint. Korea also seems to be able to seek for ways to invigorate the domestic sixth industry through implications and policy tasks drawn from an analysis of the three countries’ support policies and cases of the six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Prior to the seminar, the heads of the three institutes who highly appreciated the outcomes of the joint study had discussions on how to conduct joint research and promote research cooperation and human exchanges among them for next year’s symposium. They also had a discussion on the theme of the 11th FANEA symposium and tentatively set the main theme as “Remote Areas Development and Agricultural Policy Assessment.” Next year’s symposium will be hosted in China, and Hainan and Yunnan provinces were selected as candidates given Beijing’s weather conditions in summer. The concrete schedule and venue will be discussed later.
The 10th FANEA international symposiu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moting the three institutes’ increased mutual understanding and personal exchanges and strengthening internationalization capabilities and cooperation by actively conducting joint and comparative studies on the common interests.
Researchers: Moon Han-pil
Research period: 2014. 1. - 2014. 12.
E-mail address: hanpil@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4289
-
좋아요0
-
다운로드22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 이전글
- 국제곡물 조기경보시스템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