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단순가공 농산물의 품질·안전 관리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단순가공 농산물 시장 현황 및 특성
제3장 단순가공 농산물 품질 및 안전 관리 현황과 정책
제4장 단순가공 농산물의 품질·안전 관리 실태와 문제점
제5장 단순가공 농산물의 품질·안전 관리 방향과 과제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경제 발전으로 인한 소득향상과 핵가족화로 인해 단순 가공된 농산물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단순가공 농산물의 수요 증가와 함께 품질 및 안전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식품의 원료인 농산물의 생산, 가공, 유통, 판매 단계에서의 품질·안전 관리 방안에 대해 노력해 왔다.
그러나 가공식품은 「식품위생법」으로 관리되는 반면, 단순가공 농산물은 「식품위생법」에서도 예외로 적용되어 품질 및 안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단순가공 농산물의 품질 및 안전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단순가공 업체들의 영세성이 심각하여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단순가공 업체들의 현장을 점검·조사하여 문제점과 현실적인 관리 방안을 강구하였으며, 전문가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현장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ways of efficient management on quality and safety of simple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The definition and scope is divided into simple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cessed food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age. The former is generally used to cook including preprocessing and fresh cut products, and the latter is consumed instantly covering fresh convenience foods and some fresh cut products.
For this purpose, we need to manage the simple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with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 and processed foods in HACCP.
Although GAP is managing the hazard factors from production to post-harvest, distribution, and sale, there can be the lack of management zones in marketing channels because it is not legally binding on quality and safety for simple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Furthermore, GAP has the standards of land, water, and chemicals to produce agricultural products and 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have to be distributed through the GAP facilities. However, the standards for facilities are not specified. Therefore, the specific measures should be provided for GAP.
First, a cold chai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and enhanced in the marketing channel and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suppress as much as possible micro-organisms in agricultural products since there is a risk of contamin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products cultivated in the open field.
Second, it should be obliged to use the water for washing food. According to the simple processing manufacturer survey, 53.3% of those use the tap water, followed by groundwater and agricultural water. However, there is risk of being exposed to livestock manure and chemicals because most of businesses are i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area.
Third, management standards for packaging of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should be established. since there is potential risk of browning and odors relying on the packing methods and mixed harmful substances in the packing process.
Fourth, the publicity for GAP should be strengthened. Producers and manufacturers do not use the GAP due to no compensation but consumers do not know the GAP. Moreover, the survey indicated that consumers are willing to pay additional costs for GAP agricultural products.
Fifth, the training and consulting of the quality and safety for producers and employees should be extended. These programs are needed for both producers and processors to produce high quality and safe products.
Sixth, it is needed to designate more GAP facilities. Since RPC and APC of the national GAP facilities are each only 55% and 42%, RPC and APC supported from government should be mandatory to specify the GAP facilities and extend to private facilities.
Finally, we need to build the connection systems of GAP and HACCP. Without a predetermined program such as GAP and GMP, HACCP can not perform because it is only a portion of the food safety program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anage the simple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like pretreatment and some fresh cut products with GAP and HACCP for processed foods including instant intake is desirable.
Researchers: Kim Seongwoo, Park Seongjin, Byun Seungyeon
Research period: 2014. 3. ~ 2014. 8.
E-mail address: swootamu@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26904
-
좋아요0
-
다운로드128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무기질비료산업의 발전 및 연구개발(R&D) 방안 : 토론회 자료집
- 이전글
- 세계의 선진 조경수 기업양묘장을 찾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