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간척지의 농업적 이용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간척지 이용 현황과 이용제도
제3장 국내외 농업여건과 전망
제4장 농업적 이용의 기본방향과 목표 및 토지이용우선순위
제5장 농업적 이용의 용도별 위치와 면적
제6장 간척지의 농업적 이용을 위한 사업추진 방안
제7장 간척지 관리 및 운영 방안
제8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이 연구는 농업용 간척지 30,394㏊를 대상으로 「간척지의 농업적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농업적 이용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argeting 30,394 ㏊ agricultural polders of reclaimed land of 12, to present a comprehensive plan for agricultural use. In the "Act on the agricultural use and management of reclaimed land"enacted in January 2012,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such provisions to develop a comprehensive plan every five years from January 2014.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Following the introduction in Chapter 1, in Chapter 2, review on the current states of construction and usage of twelve reclaimed land, the contents of the use system of reclaimed land was made.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trends of supply and demand in the international grain markets, reduction of farmland area, the number of farm households and farm population, changes in the agricultural structure and agricultural income, and patterns of food consumption. In Chapter 4, we set goals and direction and basic vision of the agricultural use of reclaimed land, and analyzed the priority of land use of the reclaimed land in crop cultivation. In Chapter 5, firstly we set the target area of each crop that can be grown in reclaimed land, secondly classified the area of all crops into eight groups by purpose of land use, lastly alloted the area of eight groups into each district of 12 reclaimed land. In Chapter 6, we proposed the business promotion procedures and systems for agricultural use of reclaimed land, measures of business execution by stage, application and districts of reclaimed land, and funding methods. In Chapter 7, we studied management and leasing system of reclaimed land, maintenance and repair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n these reclaimed land, and measures for supporting agriculture and agribusiness. Chapter 8 is the Summary and Conclusions.
Researchers: Seok-Doo Park, Shi-Hyun Park, Gwang-Seok Chae, Jeong-Seung Kim
Research Period: 2012.4~2012.12
E-mail Address: sdpar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0805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한국 비료 정책의 변화
- 이전글
- 동북아농정연구포럼(FANEA) 2012 활동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