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밭농업 기반정비 확충 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밭농업의 개념적 이해와 기반정비의 의의
제3장 밭농업의 현황과 과제
제4장 밭농업 기반정비의 현황과 과제
제5장 밭농업 기반정비 확충 방안
제6장 밭농업 기반정비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정책 과제
제7장 결 론
요약문
이 연구는 기존의 밭기반정비사업만이 아니라 논에서의 밭농업 기반정비 강화를 포함하여 밭농업 및 밭작물 소비 구조의 변화 등을 고려한 밭농업의 기반정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정책 대안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밭농업의 개념적 범위와 기반정비의 의의를 파악하였다. 둘째, 밭농업의 현황과 과제를 검토하였다. 셋째, 밭농업 기반정비의 현황과 과제를 도출하고, 밭농업 기반정비 확충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밭농업 기반정비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dry-field farm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 in changes in the upland farming environment including horticultural crops and fruit with the recent Korea-China FTA talks, and to draw plans to improve the infrastructure of dry-field farming poorer than that of paddy farming.
This study covers both fields and paddies for measures to expand the improvement of the upland farming infrastructure. First, the concept of dry-field farming and the significance of its infrastructure improvement are examined. Second, the present state and tasks of upland farming are investigated. Third, the actual condition and tasks of dry-field farm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 are examined, and the ways to supplement the improvement are presented. Fourth, policy tasks for effective reorganization of the infrastructure are presented.
We examine dry-field farm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 for fields and paddies, and present alternatives such as expanding the Dry-field Farm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target, enhancing the project’s level, implementing projects centered on main producing areas, upgrading the budget support system, and reforming the system of coordinating land use and organizing to supplement upland infrastructures early. To expand the project’s target beyond the standard of the grouped area size (that was relaxed from over 30ha to over 10ha), it is needed to increase the target areas more actively, and to develop proper types of the project through organizing by region. Basically, regional differentiation including simple and complex improvement should be sought.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nd develop the project’s key contents such as paving access roads, readjusting farmland, and developing water. The project should focus on main producing areas. Nevertheless, in consideration of cities and counties without the designation of main producing areas,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Development Plan for Agriculture, Rural Villages and the Food Industry by city and county, and each region needs to plan and deliberate whether to implement projects including the designation of main producing areas by city and county and of the Dry-field Farm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target area. As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project’s budget support system from the Regional Development Special Account to the Agriculture & Fisheries Structure Adjustment Special Account (Agriculture Special Account), the following ways can be considered: implementing existing projects with the Regional Development Special Account and new projects with the budget support system of the Agriculture Special Account in the areas sele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conducting only field infrastructure improvement centered on main producing areas with the budget support system of the Agriculture Special Account; implementing only projects in areas possible of field readjustment with the Agriculture Special Account’s budget support system; and implementing projects in grouped areas above a certain size (e.g. grouped areas over 10ha: Agriculture Special Account; grouped areas under 10ha: Regional Development Special Account) with the budget support system of the Agriculture Special Account.
The policy tasks for efficient upland farm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promote strategies for projects centered on main producing areas and organization for regional differentiation. Second, projects’ priorities and proper size should be decided. Third, it is necessary to secure stable finance and to improve the budget support system. Fourth, a resources survey and demonstration projects are need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upgrade the farmland management systems centered on the land category of paddies and the adjustment of land use.
Researchers: Kim Hong-sang and Chae Gwang-seok
Research period: 2014. 1. ~ 2014. 7.
E-mail address: hs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30306
-
좋아요0
-
다운로드42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한·영연방 FTA에 따른 축산업 대책 연구
- 이전글
- 지역 일자리 지수 개발과 정책적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