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고랭지 채소면적 변동요인과 전망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고랭지 채소 생육 특징과 재배 동향
제3장 생산여건 변화에 따른 면적 변동
제4장 수요여건 변화에 따른 면적 변동
제5장 대외 요인 변화에 따른 면적 변동
제6장 면적 변동 요인별 기여도 분석
제7장 향후 전망 및 시사점
요약문
재배면적 감소와 기상이변으로 가격 변동이 커짐에 따라 여름철 배추가격은 매년 사회적 관심사가 되었다. 여름에 생산되는 고랭지 무와 배추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저온성 채소로 해발 400m 이상의 지역에서 재배된다. 대부분 산악 경사지에 위치해 집중호우와 같은 기상재해에 취약하기 때문에 가격진폭이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고랭지 배추와 무의 재배면적은 최근 10여 년간 절반 가까이 감소함에 따라 생산변동에 따른 가격 변동 가능성이 확대되었다. 주기적인 가격파동으로 인하여 사회적 이슈가 되고 관련 대책들이 반복적으로 발표되어 왔다. 이들 대부분은 수급 및 가격 안정에 초점이 맞추어진 생산 및 유통 관련 정책들이었다. 관련 연구들 또한 계약재배, 직거래 방안 등 생산 및 유통부문을 주로 다루어 왔다.
이 연구는 이러한 기존의 연구초점에서 벗어나 재배면적 감소의 요인을 생산 및 수요, 대외여건 등 여러 측면에서 살펴보고 고랭지 채소 재배면적 감소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that cause the rapid decline of acreage of highland Chinese cabbage and radish in the last decade and to estimate the effect of each factor on acreage decreased.
The acreage of highland Chinese cabbage and radish was maintained or slightly increased in the 1990s, but in the 2000s, it has decreased very quickly. Therefore, the highland vegetable acreage in the Southern region almost disappeared, and the remaining highland vegetable acreage is centralized on Gangwon.
We investigate climate change, profitability change, increasing Kimchi import, supply policy change etc.
First, we examine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vegetable yields and acreage in highland. Except 2010, there was no wild fluctuation in highland Chinese cabbage yields, and the temperature did not rise as much as the cultivation is not possible. However, in southern regions with higher temperature, a rise in temperature aggravated the salability of Chinese cabbage, while the increased temperatur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ultivation of Chinese cabbage. Hence, a unit price was declined and southern regions became less competitive for highland Chinese cabbage cultivation than Gangwon. The plunged cultivation area in southern regions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the total cultivation area of highland Chinese cabbage.
Second, we find out that the increase in operating costs and the worsened profitability are significant factors causing the cultivation area decrease in highland. This study shows that since 2000, there is high correlation within the profit loss and the acreage decrease.
Third, a change in the relative profitability of highland vegetables to other crops is another factor. In case of the highland area, due to the limitation of high altitude there was no wild fluctuation in acreage. However, in the semi-highland regions, there was a crop switch. We infer that crop switches in highland resulted from changes in relative profitability through a change in gross revenue.
Fourth, we consider a change in demand of highland vegetables. The demand for highland Chinese cabbage is relatively consistent and changes in demand result from price fluctuations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On the other hand, regardless of the prices and income level, the demand for highland radish is constantly decreasing.
Finally,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a cultivation on speculation is the major proportion of highland cultivation. Governmental policies for stable supply and prices make price variation less vulnerable.
We expect that the highland Chinese cabbage acreage will be able to increase temporarily but will keep declining for a while. However, most of the decrease will be from the semi-highland in Gangwon, so the rate of decrease will be slowed and after all, the acreage will be maintained.
Researchers: Kim Tae-hun; Park Ji-yun; Park Young-gu
Research period: 2013. 9. 15. ~ 2014. 1. 31.
E-mail address: taehu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7777
-
좋아요0
-
다운로드134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2013년도 농업·농촌분야 OECD 연구동향 분석 및 대응방안
- 이전글
- 식생활교육문화연구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 연구 :요약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