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일본 방사능 유출사고의 국내 농식품 소비 파급 영향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일본 방사능 유출사고 현황과 대응 실태
제3장 일본 방사능 유출사고의 파급 영향
제4장 일본 방사능 유출사고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평가
제5장 요약 및 시사점
요약문
2011년 3월에 일본에서 대규모 지진과 쓰나미가 발생함에 따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에서 방사능이 유출되었다. 유출사고 직후부터 최근까지 우리나라 정부는 일본산 농식품 검역·검사를 강화하고 홈페이지를 통해 방사능 검사실적을 정기적으로 공개하는 등 식품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소비자가 식품 안전에 대해 안심할 수 있도록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소관부처별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사고 발생 이후 3년여가 지난 후에도 일본 방사능 유출 관련 보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정보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달·확대 또는 재생산되면서 소비자의 식품안전성에 대해 불안감이 쉽사리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불안감은 다양한 양상으로 농식품 소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는 일본 방사능 유출사고가 국내 소비자의 농식품 소비에 미치는 영향과 식품안전성 및 정부의 대응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This study was done to ① look into countermeasures at home and abroad since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accident of March 2011, ② examine how the information regarding Japan’s radioactivity has spread by analyzing the trend of media reports and on-line public opinions, and ③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the nuclear disaster on agricultural food products consumption and people’s awareness through statistics and a consumer survey.
In the aftermath of Japan’s earthquake and tsunami in March 2011, there were radiation leak accidents from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Japan’s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has been striving to secure food safety since then by establishing new regulations regarding foods and investigating radioactive materials in major food items such as marine products. A series of countermeasures have been taken by the Korean government too, l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cluding reinforced inspection or a ban on imported foods from Japan.
Various reports have been made up until now since the disaster covering radiation leak accidents and progress, status of or criticism for the government’s response, safety promotion, and rising sense of crisis. Such reports have tended to take on a relatively long-term aspect compared to other coverage about general agricultural food safety accidents. The negativity espoused in the media makes it harder for consumers to ease their concerns over radioactivity and food safety.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radioactivity online takes various forms such as media news coverage, postings on blogs and cyber cafes, and video clips. There had not been much on-line information about radioactivity before March 2011, though it differed by media and means. On the other hand, relevant inform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s consumers became more concerned about radioactivity for 2 to 3 months after the accident. It decreased over time as consumers got less interested in radioactivity before rising again around September 2013.
According to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of Statistics Korea for the household expenditure on agricultural food and livestock products, the overall spending on marine and processed marine products fell after 2011 in terms of both size and ratio. People spent less money especially on fresh marine products such as fish and shellfish (cutlassfish, pollack, clam, etc.).
The consumer survey shows that they are highly anxious about radioactivity and have extremely negative perception toward the safety of Japanese agricultural food products. According to the survey, consumers’ level of agricultural food consumption has changed after the radiation leak, impacting the demand for marine products the most. It is still affecting the agricultural food consumption even after 3 years. There is also low consumer confidence in the government’s efforts to secure agricultural food safety against the nuclear disaster. Consumers recognize that the government should intensify quarantine and safety inspection for imported agricultural food products to promote food safety.
With this radiation leak accident having relatively longer influence than other food safety incidents or accident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is issue might be rising again or reignited when circumstances require. In fact, new developments or media coverage related to radioactivity can have huge ripple effects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stimulating consumers’ potential anxiety over radiation. Therefore, relevant ministries in charge of the food industry, including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hould closely monitor the trend of public opinion about radioactivity and come up with long-term countermeasures to secure consumer confidence.
Researchers: Hwang Yun-jae and Lee Dong-so
Research period: 2013. 11. - 2014. 3.
E-mail address: yjhwa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44934
-
좋아요0
-
다운로드144
같은 분야 보고서
-
식품수급표 2022
홍연아2023.12.30KREI 보고서 -
식품수급표 2021
홍연아2022.12.30KREI 보고서 -
2022 식품소비행태조사 통계보고서
이계임2022.12.30KREI 보고서 -
2022 농소모 활동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트렌드 모니터)
이계임2022.12.30KREI 보고서 -
2022 식품소비행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이계임2022.12.30KREI 보고서 -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 관련 소비자 조사 결과
김상효2022.12.30KREI 보고서 -
식생활 변화 대응 장류 산업 발전 방안
박성진2022.10.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을 위한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감축 대안과 효과분석
홍연아2022.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2013년도 FTA 피해보전직불금 지원 대상 농축산물 조사·분석 연차보고서
- 이전글
- 주요 시설원예 작물의 냉난방 및 보온형태별 경영실태 분석(1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