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맞춤형 농정 지원 등을 위한 농업경영체등록제 개선방안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업경영체등록제 운영 실태
제3장 외국의 농업경영체 등록제도
제4장 농업경영체 등록제도 개선방안
제5장 농업경영체등록제 활용방안
제6장 요약 및 정책적 제언
요약문
2008년에 도입해 운영 중인 농업경영체등록제는 그간에 일정한 정도의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정책사업과의 실질적인 연계가 약해 활용도가 떨어지는 상태에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등록제의 발전을 위한 기본방향을 재설정하고 여기에 부합하는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이 연구는 농업경영체등록제 도입의 본래적 의미를 재검토하고 현 단계의 농정추진에 필요한 형태로 등록제의 방향을 재설정하며 이를 구체화하는 실천방안 모색 단계까지 나아가고 있다. 나아가 등록제의 등록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추진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farm manager registration program introduced in 2008 to better support agricultural policies, mainly by evaluating the current process and redefining the direction of the program.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he registr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low, as the program was not connected with the agricultural policy projects. This research will, therefore, focus on addressing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registration program, resetting the directions of its development and refining the measures of application.
The revised directions of the develop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orean Integrated Administration and Control System (KIACS) needs to be established, in which the registered data of the program play a key role as basic information. Second, the connection of the registration program with the agricultural policy projects should be built step by step based on the ease of obtaining information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Third, in order to meet diverse needs of farmers, it is necessary to use the registered information as a means of the foundation for implementing customized agricultural policy. Fourth, the registration program should be operated as a certification of agricultural holdings. In the process, the criteria of agricultural holdings should be established. Fifth,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otential for statistical utilization of the registered data. Sixth, customized policy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farmers and the registration program should be used as a means of implementing the Policy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PCRM).
The most important measure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the registration program is the establishment of KIACS. The basic elements of this process are as follows: 1. the way to create the integrated database for KIACS, 2. the possibility to use the tax data of agricultural holdings, 3. the order of the agricultural policy project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KIACS. The proposals, which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element, will be made in the form of the selection or stepwise.
The farm manager registration program was introduced to support the farm management of agricultural holdings effectively, but the registration program has an inherent characteristic of functioning as the certification standard of agricultural holdings. Therefore, the registr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so that it can operate very well in these two dimensions. To set up the recognition criteria of an agricultural holding,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agricultural holding and its minimum size. The term 'agricultural holding' should include a concept of an enterprise which a farmer manages on the independent material basis. In this respect, the criteria for registration of three agricultural sectors are proposed in the form of the minimum size.
Researcher: Soosuk Kim, Jong-Sun Kim, Areum Byun
Research period: 2013. 8. - 2013. 12.
E-mail address: soosu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4096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미래농업 대응 신성장 산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이정민2024.10.30KREI 보고서 -
공공형 계절 근로 시범사업 성과와 과제
엄진영2023.11.30KREI 보고서 -
2018~2022년 농가경제 심층분석
민선형2024.04.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김문길2023.12.30KREI 보고서 -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마상진2023.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축 사육단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이용건2023.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재정 세입 구조 개선 연구
김미복2023.10.30KREI 보고서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2023.04.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통계로 살펴보는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 이전글
- 농업·농촌 에너지 수급 및 투입구조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