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청송군 기초생활인프라 수요조사 및 전략사업 발굴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지역발전정책 추진 환경의 변화와 과제
제3장 청송군 일반 현황 및 삶의 질 여건
제4장 청송군 마을별 정주 여건과 개발 수요
제5장 청송군 주민의 생활환경 만족도와 개발 수요
제6장 청송군 개발 방향과 주요 전략사업
요약문
이 연구는 청송군의 현황을 전국적인 차원에서 진단하고 주민들의 내부 수요를 면밀히 조사하여 앞으로 5년간 어떤 전략적 사업을 추진할 것인가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마침 올해는 새 정부를 맞이하여 ‘국민행복’과 ‘창조경제’를 국정기조로 채택하는 등 국가의 지역정책도 변화하고 있으므로 이에 부응하고 지역 간 상생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역정책의 주요한 내용을 비롯하여 청송군의 기존 발전계획에 대한 검토, 각종 통계자료의 분석, 청송군 행정리별 이장 대상 전수 조사 및 주민 700명 대상의 개발 수요 조사 등을 바탕으로, 창조적 마을 만들기, 중심지 육성, 문화관광 활성화, 6차산업화, 지자체 간 연계협력사업 등 크게 5개 분야의 전략사업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strategic projects for Cheongsong County based on a survey of basic living infrastructure and on an analysis of the residents' needs. The focus of the study is placed mostly on comprehensive subsidy projects while strategic projects that are in line with the policy direction of the new government are also identified. Depending on the type of a project, similar cases of the project at home and abroad are examined and priorities are reviewed.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consist largely of five part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First, under the recent changes in the policy environment, the main points that are emphasized concerning the rural development policy are analyzed to be linked with the identification of strategic projec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since Cheongsong County has relatively poor financial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have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policy changes of the central government to implement strategic projects. Second, the status of Cheongsong County is identified by sector from a national perspective based on the statistics data of cities and counties. The reason for this is to use it as a reference for identifying strategic projects after the rela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ounty are determined. Third, the state of basic living infrastructure and the conditions for urban-rural exchanges, as well as the demand for development, are identified through a survey of village leaders of the county. Fourth, a survey is conducted on 700 randomly selected county residents to identify and analyze their satisfaction level of basic living infrastructure and their needs for development. Lastly,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strategic projects that Cheongsong County should carry out in the next five years.
Cheongsong County is at a relatively disadvantageous position compared to other cities and counties in terms of overall conditions that include conditions for local development and living infrastructure. However, in terms of the `leisurely living index,' the county is placed on the high rank, which this study interprets to have derived from the fact that it has many tourist attractions such as Mt. Juwangsan, Jusanji Pond, Dalgi Mineral Spring and an exhibition hall of stones with flower patterns. Thus, this study evaluates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finding strategic projects that reinforce the strengths of the county. The county residents have a relatively high demand for development in the fields of medical welfare and cultural leisure. For now, the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especially as depopulation and aging are rather severe and as it will be necessary to mend the basic living infrastructure to attract urban-to-rural migrant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major strategic projects for Cheongsong County: “happy village building project,” “settlement center development project,” “geological park development project,”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project,” and “municipalities partnership project.” All these projects are developed to reflect the changing policy direc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needs of residents.
Researchers: Mi-Ryung Song, Joo-In Seong, Kwang-Seon Kim and Byeong-Seok Yoon
Research Period: 2012.12~2013.10
E-mail Address: mrso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65019
-
좋아요0
-
다운로드1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동남아 3개국 농기계 수출 환경조사
- 이전글
- 농자재산업의 산업연관효과 동태적 추이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