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글로벌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미국의 전략 및 시사점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글로벌 식량안보 현황
제3장 미국의 글로벌 식량안보 강화 전략
제4장 한국의 글로벌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지원 방안
제5장 시사점
요약문
최근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UN을 비롯한 국제기구의 분담금을 증가시키면서 글로벌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노력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글로벌 전략은 아직까지 문서화되어있지 못하며 이를 위한 연구 또한 미미한 실정이다.
글로벌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우리나라의 노력과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을 고려할 때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동향과 미국의 전략을 파악하는 것은 기초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제사회에서 미국이 주도가 되어 논의되고 있는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동향과 실질적으로 지원되고 있는 현황, 그리고 미국이 이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전략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더불어 파악된 동향 및 전략을 토대로 우리의 현실을 파악하고 향후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general information on U.S. strategies to enhance global food security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establish more effective strategies in the future.
The combination of food and economic crises has pushed the number of food-insecure or hungry people worldwide to historic levels: approximately 1 billion people are undernourished. As a result, President Obama signaled that alleviating global hunger would be a top priority of his administration. The Department of State has taken the lead in developing a U.S. global food security strategy that focused on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based on five principles: support for comprehensive strategies; investment through country-owned plans; stronger coordination among donors; leveraging effective multilateral institutions; and sustained commitments.
Forming "Feed the Future", agricultural development has been a component of the United States' foreign aid programs, but U.S. funding for such assistance has declined from about 20% of U.S. ODA in 1980 to around 5% in recent years. The involvement of several U.S. government agencies including USAID and USDA, in providing agricultural development aid has focused on global food security having other multilateral and bilateral donors. Also, the U.S. has called for a substantial increase in agricultural development assistance,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so has pledged substantial support for a global food security initiative.
In the case of Korea, most of the aid for global food security has been made through multilateral organizations. However, in recent years, Korea formed a program called “KAPEX” to support an analysis of partner countries' entire agriculture, and derive a leverage area to be aimed. It is much more effective than a one-sided way to support the partner countries' agricultural development. However, the program would not be sustainable since there is no way to support after the one-year program ends due to its budget struc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its duration with additional financial support for the existing programs.
Researcher: Lee, Dae Seob
Research period: 2013. 6. ~ 2014. 2.
E-mail address: ldaeseob@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9827
-
좋아요0
-
다운로드83
같은 분야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남경수2023.11.30KREI 보고서 -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이현근2023.11.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전형진2023.11.20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이형용2023.05.31KREI 보고서 -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이 농업 GDP에 미치는 영향과 농업분야 ODA가 GD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김영준2022.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3/5차년도)
최용호2022.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파라과이
차원규2022.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에티오피아
김종선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경기도 마을만들기 지원 계획 및 실행 방안 연구
- 이전글
- 청송군 아버지교육 욕구 조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