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일본 및 중국의 차(茶) 산업 동향과 시사점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일본의 차 산업 동향과 과제
제3장 중국의 차 산업 동향과 과제
제4장 요약 및 시사점
요약문
우리나라 차 산업은 국민소득 향상과 함께 소비가 확대되어 급속히 성장하여 왔으나, 최근 커피를 비롯한 다양한 대용차의 개발과 소비 확대, 농약 파동 등으로 인해 차 소비는 감소로 전환되었다. 이로 인해 생산 감축과 폐농 사례가 발생하는 등 전반적으로 위축되어 차 재배면적은 정점이었던 2008년에 비해 최근 20% 이상이나 감소하였다.
이에 비해 일본은 차 문화가 정착되어 차가 이른바 국민적 음료로 취급받고 있으며, 일본인에게 매우 중요한 농산물 중의 하나로 1인당 차 소비량이 우리나라에 비해 크게 많다. 중국의 경우도 전통적인 차 소비 대국으로 매년 생산량의 2/3가량이 내수로 소비되고 있으며, 경제 발전과 소득 수준 향상, 건강에 대한 인식 확산 등으로 차 소비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때문에 본 연구는 일본 및 중국의 차 산업 현황을 살펴본 후 벤치마킹이 가능한 부분을 도출함으로써 앞으로 국내 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Korea's tea industry showed high growth in domestic consumption due to the high interest in health and wellbeing trends up until the mid 2000s. However, the tea industry is currently declining due to decreased tea cultivation areas resulting from the pesticide incident of green tea and development of a variety of alternative tea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areas that can be benchmarked by identifying the tea industry trends of Japan and China, which are countries that have a strongly established tea consumption culture as one process for establishing plans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tea industry and to spread the tea consumption base.
Japan has a widely established tea culture and their tea consumption per person is much higher than that of Korea. It also has a tea market allowing fair pricing. Despite this, their tea cultivation area is on the decline due to the aging society and the number of processing plants is also decreasing every year. However, as small individual tea plants are being reorganized into larger tea plants, Japan's tea industry is progressing into the direction of economy of scal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reorganization of tea-making companies will be necessary for the economy of scale for tea processing in Korea as well.
Japan has a variety of subjects regarding tea such as tea makers, agricultural cooperatives, brokers, processors and wholesalers, and retailers. However, because the tea market and agricultural cooperative participate in distribution, it is possible to guarantee fairness in forming the price of tea. Therefore,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Korea to procure consumer trust through fair pricing of tea.
Meanwhile, China not only possesses the largest tea farming area in the world, but also records the highest production of tea in the world, making it one of the strongest countries in terms of tea. Furthermore, based on its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ing awareness of health, China's tea consumption is growing every year, and their tea processing technology has improved a great deal as well. In particular, China is the world's second biggest tea exporter and it may have a huge impact on the Korean tea industry depending on the negotiation results of the pending Korea-China FT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osely observe the tea production and export trends of China to analyze its effects on the Korea tea industry and to establish various strategies to enhance Korea's tea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it will be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the safety of Korean tea and tea-related products to differentiate Korean tea.
Researchers: Park Ki-hwan, Heo Seong-yoon,
Miyabe Kazuyuki, Xu Yongmei
Research period: 2013. 10. ~ 2014. 4.
E-mail address: kihwa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3405
-
좋아요0
-
다운로드114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2013 DDA 협상과 향후 대응방안
- 이전글
- 농업․식품분야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분석과 감축목표 달성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