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배추·무 예측모형 고도화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배추·무 수급동향 및 특징
제3장 배추 수급모형
제4장 무 생산모형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우리 연구원의 농업관측센터에서는 주요 채소류 수급 및 가격 전망 정보를 관측월보를 통해 매월 발표하고 있으며, 이를 채소 농가와 관련 기관에 제공함으로써 농산물의 수급안정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 배추, 양파 등에 대한 중기선행관측을 시행하면서 좀 더 빠르고 시의 적절한 수급 전망을 통해전체적인 채소 시장 안정화에 기여함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그러나 태풍, 강우, 가뭄 등 최근 기상 여건이 과거와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면서 농산물 수급 예측이 이전보다 더 어려워진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인건비를 포함한 생산비의 증가, 시장 가격 등락 심화 등은 산지와 시장참여자들의 재배와 유통 의사결정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개발되었던 수급모형을 다시 검토해보고 이를 좀 더 현실성 있게 보완하여 산지 및 유통 주체, 정부의 수급 안정 정책 등에 기여할 수 있는 모형의 재개발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는 농산물 시장에서 중요성이 매우 높은 배추, 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미 개발된 기존 수급모형을 보완하였다. 보완된 모형에서는 기존 모형에서 간과된 태풍 일수, 생육 적정온도, 생육과 관련된 임계 기후 등이 추가되어 좀더 정확한 수급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Providing the guideline of production and shipments and contributing to supply and price stabilization measures of government, the agricultural outlook project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has contributed to stabilization of supply and demand of agri-livestock products. However, in recent years, the fluctuation of vegetable prices has grown. Hence, a price stabilization policy has been more important. Moreover,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forecast model which can give an accurate explanation of climate effects integrated with development stages. There is no available model for radishes, and in case of Chinese cabbages, the model, which has been used for forecasting so far, was developed in 2010 and shows many deviation problems related to recent climate change. Hence, in this study, we supplement the limitation of the previous cabbage supply-demand model, and develop the supply-demand outlook model including climate conditions and growth stages. Developing the cabbage supply-demand outlook model and the radish production outlook model, we can provide outlook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hectares, estimated production, and prices. The information can be used in decision making of production and shipment and in governmental policy making.
We divide Chinese cabbage and radish into three categories and estimate acreage and yield functions for each. Using the estimation results, we can calculate the total product quantity. For the estimation of acreage planted, we use price information. We find that except the high altitude area in Gangwon, acreages of all types are affected by each type's price in the previous year or by the price of the previous type. For the estimation of yield, we use weather information in biological growth stages. Our study shows that yields are affected by climate and especially by climate in the planting period and cold weather.
The price of Chinese cabbage is estimated with quantity supplied in markets and previous monthly price and disposable income data, and the estimation result shows that Chinese cabbage prices are affected by quantity supplied and the previous monthly price.
Researchers: Ji-Yun Park, Young-Gu Park
Research period: 2013. 8. ∼ 2013. 12.
E-mail address: jiyunpark@krei.re.kr, ygpar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3061
-
좋아요0
-
다운로드116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친환경농업정책의 효과 평가를 위한 계량모형개발
- 이전글
- 여성농업인 사회자본 확충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