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산림산업 활성화를 위한 종묘산업 발전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산림용 종묘 생산 현황과 관련 주요 제도
제3장 산림용 묘목 생산방식과 생산자 현황
제4장 산림용 묘목 이용자의 조림사업과 문제점
제5장 외국의 종묘사업 동향과 전망
제6장 산림용 종묘산업 발전과제
요약문
제2차 치산녹화기가 종료한 80년대 말 이후 산림사업의 조림면적이 감소하면서 산림용 종묘의 생산도 함께 축소되어왔다. 최근 들어 청장년 영급 산림이 늘고 입목 축적이 증가하여 산림의 영급별 균형과 목재생산을 위한 벌채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목질계 바이오매스 등 산림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조림을 통한 성공적인 산림사업을 위해서는 우수한 산림용 종묘 수급기반이 필요하지만 현실은 규모면이나 전문성 측면에서 현재 및 미래의 수요에 대응할 여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종자공급원이 부족하고, 종묘 생산을 위한 관리 인력이 부족하며,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종묘 연구개발을 위한 전문가도 부족한 현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산림용 종묘산업의 문제점과 그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발전방향과 관련 정책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보고서에서는 산림용 종묘생산 현황과 관련 제도를 정리하여 제시하였고, 산림용 묘목생산과 조림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발전과제를 종자와 양묘산업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Seed and seedling industry is important as the basis of forestry business. The demand of forestry is growing not only for the quality of life but also for providing natural resources. As income grows, the public is looking for better environmental service as well as wooden materials for the living. Because the demand for new renewable energy is increased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the CER(Carbon Emission Reduc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forest resources.
However, seed and seedling industry lacks in size and capacity to allow forest business to catch up with increasing demand. Hence,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of production and usage of seed and seedling, we derive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seed and seedling industry to revitalize forestry business. The scope of the study covers seed production, seedling production, and afforestation.
We found the following as the current problem in the seed industry. There isn't an efficient control system to manage central seed orchard and seed stand. Hence, the quality degradation of seed as well as tree can occur. Even though there would be enough good seeds in orchard or stand, the shortage of good labor to harvest the seeds and the supply and demand misalignment could still cause a seed problem such as using the seeds from the un-designated seed stands.
We found the following as the current problem in the seedling industry. Both public and private tree nurseries have the same single big problem. That is the shortage of labor and it has been getting worse. Tree nurseries irregularly require much labor during the short period of time and it is getting more difficult in rural areas to recruit labor especially good experienced labor. The shortage of labor is the biggest problem in planting for both public and private forests.
We propose the following as the solutions for the problems of seed and seedling industry.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id to long term seed supply plan. Based on this, we need to readjust seed production system. It is better to provide only the major seeds from central seed orchard and seeds for special purpose or selected area from the seed stands.
Second, the formulation of the national seed management system can't be done without proper marketing and distribution of seeds. In that sense, early settlement of the producer verification can restrict the usage of unproven seeds to grow saplings for the forestry.
Third, the shortage of labor can be solved by mechanization and facility cultivating, which is less demanding in labor compared with outdoor cultivating. The expansion of facility cultivating in seedling is possible only when the number of species from facility cultivating of national afforestation is increased, not to mention facility itself and related nursery technique. When the facility cultivating is equipped with modern tools and automatic control system, it is much easier to resolve the labor problem in the seedling industry.
Forth, we need to reinforce the infrastructure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In the sense, a professional education organization with specialized program would be desirable to make new seed and seedling specialists and keep them by providing supplementary education.
Fifth, Expanding both the research areas and the research volume is necessary. Considering the required long period of time for growing and the difficulty for species differentiation, the application of BT technology including cloning and tissue culture is important but it is better to focus only on core, major species considering the necessary size of budget for the research.
Researchers: Ho-gun Chong, Chul-kyun Yim
Research Period: 2013. 1 ~ 2013. 12
E-mail address: hogunc@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9132
-
좋아요0
-
다운로드90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식품 정책의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실태와 개선 과제
- 이전글
- 종자산업의 도약을 위한 발전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