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경영보고서
- 공공데이터 오픈 API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식량안보 지표 개발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외 곡물 수급현황과 전망
제3장 식량안보 개념과 지표개발현황
제4장 새로운 식량안보 개표 개발
제5장 요약 및 활용방안
요약문
식량안보의 대한 개념은 곡물의 생산, 교역 등을 통한 가용성에 초점을 두었으나 최근 식품의 안전성, 영양 등으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이렇게 확대된 식량안보 개념에 부합하고 곡물 수입국인 우리나라의 식량안보수준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의 식량안보지수와 달리, 이 연구에서는 국제곡물의 가용성을 개별국가의 곡물 자급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여 국제곡물 수급여건에 대한 수입국의 민감도를 지수에 반영하고 식량안보수준을 다른 나라와 비교·가능한 지표를 개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food security index that enables cross country comparison and reflect situations of grain importers including Korea. Since the index was calculated by sub-category, it corresponded to the expanding concept of food security.
The previous mixed type indexes developed in Korea provide only Korea’s index so that they do not have criteria or other country’s index to evaluate its adequacy. Global food security indexes such as the Global Food Security Index of The Economist and the Rice Bowl Index of Syngenta are possible to compare across countries. However, they are largely affected by income levels and do not well reflect our domestic situation heavily depending on grain imports.
Therefore, the new developed Food Security Index (FSI) adopted a mixed type approach that has merits of an equation based approach and a score card approach. The new FSI corrected those demerits of previous Korea and global mixed indexes of food security.
By a process selecting sub-indicators the new index consisted of 3 areas (availability, accessibility, and safety and nutrition), 7 sub-areas, and 19 sub-indicators. In calculation of the composite index, weights of sub-indicators was decided after the expert group’s review, based on the weight of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 new FSI, Australia was the highest among G20 countries in 2012, followed by Canada, the US, France, and Germany. Meanwhile, Indonesia’s FSI was the lowest, because its level of per capita GDP was low and it earned a relatively low evaluation on safety and nutrition. Korea is in the middle ranks in accessibility, safety, and nutrition. Nevertheless, it has a low availability due to its low self-sufficiency rate, and thus its FSI ranks 16th among G20 nation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reflected the grain importers’ sensitivity to the conditions of global grain supply and demand in the index by differently applying the international grain availability according to each country’s self-sufficiency rate of grain. Therefore, compared to The Economist’s Global Food Security Index, the high ranking countries (mostly grain exporters) were similar. 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grain importers like Korea, Italy, Japan, Mexico, and Saudi Arabia ranked lower than in The Economist.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the new food security index that corrects demerits of existing food security indexes and calculated the indexes of G20 countri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pand the range of nations compared, set up a critical value that enables the judgment about food security crisis, and prepare countermeasures to prevent the food crisis.
Researchers: Kim, TaeHun and Kim, Jiyeon
Research period: 2013. 9. - 2013. 12.
E-mail address: taehu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36095
-
좋아요0
-
다운로드180
같은 분야 보고서
-
선제적 수급 관리를 위한 소비 관측 기초 연구
이형용2025.06.30KREI 보고서 -
염소산업 동향 분석과 과제
이용건2025.06.30KREI 보고서 -
AI를 활용한 농림업 정책 고도화 방안 연구
구자춘2025.04.30KREI 보고서 -
2024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점검·평가
권인혜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시행계획 점검·평가
정민주2024.12.30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노수정2025.08.22KREI 보고서 -
초고령사회 농촌의 치매관리 실태와 개선과제
김수린2025.04.30KREI 보고서 -
농촌경제 제48권 제2호
KREI2025.06.21KREI 보고서 -
연차보고서 2024
KREI2025.06.05KREI 보고서 -
제5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기본계획 수립방향 연구
김용렬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KREI 농업경제전망 (2013 하반기)
- 이전글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