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친환경 복합타운 조성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목차
제1장 개요
제2장 친환경 복합타운 건립 여건 및 방향
제3장 기본 구상
제4장 친환경 복합타운 조성 타당성 분석
제5장 사업 추진 및 운영
요약문
강진군은 청정한 자연환경과 높은 친환경농업기술을 바탕으로 친환경농업의 메카라 할 수 있는 전라남도에서도 유수한 친환경농업지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강진군이 가지고 있는 친환경농업기반과 이 지역의 문화 관광자원을 활용하여 친환경유기농업의 생산·유통·가공·체험 등을 직접 보고 배울 수 있는 복합시설을 조성하는 것은 강진군의 지역경제에 도움을 줄뿐 아니라 국민에게 친환경농업의 인식을 높이는데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는 강진군에서 조성하고자 하는 친환경복합타운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복수의 입지후보지에 대한 장단점을 분석한 후 선정된 후보지에 대한 기본 구상과 이에 기초한 경제성분석을 실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construction plan of "Eco- Friendly, Organic Farming Town", which is now being planned by Gangjin county of South Korea.
Before examining this plan's feasibility in full swing, authors looked into several crucial aspects of the plan in detail as this study's preliminary work: the region's capacity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project, the extent of the need of the region for the substantial amount of public investment that can be given to the county when its venture for the fund becomes successful.
Next, authors visited candidate sites around the county to consider where would fit the best for the project. Geographical and Socio-economic aspects of the sites and the whole region were analyzed to help the consideration process. After the provisional selection of a preferred site, space plan for the site was drawn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Then this plan's feasibility would be tested through two stages: 1) economic feasibility and 2) policy-level feasibility. To test the plan's economic feasibility, the authors calculated its expected costs and benefits for the region and the society following the feasibility test standards set by Korea Development Institute. For costs, three main costs were presumed: land acquisition cost, construction cost, and operation cost. For benefits, the revenues from ticket sales, educational programs, restaurants, and agricultural product sales.
In consideration of the plan's policy-level feasibility, authors looked into the patterns of consumption and the suitability of the plan according to related policies and laws.
As a conclusion, while the feasibility test showed that the project can obtain profitability through attracting visitors above a certain amount, it requires concerned parties of well-thought and enduring efforts to achieve the object.
Researchers: Sihyun Park, Eun-Mee Jeong, Yong-Woog Choi
E-mail Address: shpar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0677
-
좋아요0
-
다운로드2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가소득의 중장기 실태 분석
- 이전글
- 한국 농식품의 미국 중서부지역 수출 확대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