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산림작물 생산단지 조성사업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산림작물 생산 및 소득현황
제3장 산림작물 생산단지 조성사업 현황 및 실태분석
제4장 산림작물 생산단지 조성사업 모니터링
제5장 산림작물 생산단지 조성사업의 성과분석
제6장 산림작물 생산단지 활성화 방안
제7장 결론 및 요약
요약문
산림청은 산림을 소득자원화하고 청정자연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산림작물 생산단지 조성사업을 지원해 왔다. 이 사업은 임업인의 산림작물 생산의 규모증대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이 추진된 지 4년이 지났기 때문에 사업추진의 성과를 분석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 이 연구의 결과가 산림작물 생산단지 조성사업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임업인의 생산활동을 돕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o keep up with growing demand for clean forestry products the Forest Service of Korea has been supporting to make large scale farms for producing forest products since 2008. Being provided the 60% of the budget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farmer can do land arrangement or build necessary facilities such as sprinkler, well, greenhouse, fence and so on. The farms located in flat land as well as forest can grow various forest products including mushroom, wild greens, medicinal plants, ginseng, trees such as jujube and even scenic tree species.
Starting 11 farms in 2008, there are 99 farms nationwide in mountain areas. Among them the majority of products are wild greens(32 farms), wild ginseng(18 farms), and mushroom(20). In terms of the location, there are 29 greenhouse or growing facility, 57 forest, and 13 flat land. Typically farms in flat land are more integrated than farms in forest in terms of land arrangement and cultiv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program based on field study and make policy suggestion. Based on the financial as well as sustainability analysis to cover current and future, we can conclude that the program shows 36% success ratio such that 23 farms among 64 farms are success. In terms of species, mushroom and bracken, a type of wild greens, show better business result than others.
Though the key factors for achieving success of forest products farm business are varied on products and farm types, there are some conditions that can be generally applied to all types of farms. Farmer's willingness is vital and farms should be expert in cultivated products. Farmers having earlier experience in cultivating the product show more tendency of success than farmers don't. Operating cost for farm should be planned carefully with business plan covering the period until full-scale harvest. Most of forest products and especially ginseng takes many years before starting the harvest. Considering this, it is better to mix products that have different growing period. For example, rather than cultivating only wild ginseng that takes at least 7 to 8 years, farmers can grow wild greens and can expect some income that can be used to maintain farm until full-scale ginseng harvest. To find the right spot for growing the product in farm is essential for the success. It is suggest to do trial and error to find the right spot before starting the farm. One way of it is to require the growing test result when submit the farming plan to be selected in governmen program.
When selecting the candidate for the government-sponsored business, cultivating experience, farm scale, the way to acquire the operation cost, land ownership should be checked carefully.
Researchers: Kyung-Taek Min, Ho-Gun Chong, Cheol-Su Chang, Ji-Min Moon
Research period: 2012. 1. - 2012. 12.
E-mail address: minkt@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5645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산림 인접지역의 효과적 산불 관리를 위한 개선과제
안현진2024.12.30KREI 보고서 -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손학기2023.12.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6/10차년도): 산림통합관리권역 DB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 지자체 국토생태축과 7단계 백두대간 산줄기 위계DB 비교 - 국가·광역·지역·시군구 산줄기를 중심으로
손학기2022.12.30KREI 보고서 -
지방분권 대응 협력적 산림정책의 전략과 과제
구자춘2022.10.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 스마트 산림경영 연구
안현진2022.10.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임산물 산지종합유통센터 적정 수요예측 및 규모화 연구
- 이전글
- KREI 농업경제전망 (2013 상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