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2012년 하반기 농업·농촌분야 OECD 연구동향 분석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OECD 주요국 농정 평가
제3장 기후변화와 농업
제4장 국제식량안보(Global Food Security) 논의 동향
제5장 OECD 농업부문 위험관리 논의 동향
제6장 2012년도 하반 농업위원회 및 산하작업반 논의 동향
요약문
우리나라는 OECD(경제개발협력기구)에 1996년 가입한 이래 농업분야에서는 농업위원회와 산하 농업정책 및 시장작업반, 농업·무역합동작업반, 농업·환경합동작업반 등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OECD가 비록 국제분쟁을 조정하거나 주요협정 내용을 논의, 결정하는 기구는 아니지만 다른 국제기구와의 관계 속에서 연구주제나 이슈 선정에 대한 영향력이 있다. 농업·농촌 분야의 다양한 현안에 대한 국가별 정책수단을 평가하고 국제사회의 준거가 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OECD에서 어떠한 내용이 담긴 보고서가 공표되는가는 각국의 농정개혁이나 농정방향 수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최근 OECD 농업·농촌 분야에서는 글로벌 식량안보, 농업위험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수단 모색, 농업보조의 시장왜곡적인 측면 최소화 강구, 농업이 녹색성장에서 가지는 중요성 등에 대한 핵심 의제를 다른 국제기구와 공동으로 다루고 있다. 이외에도 농산물 가격의 불안정성, 식품 체인의 가치 사슬, 위험관리, 지역무역협정, 농산물 수출제한조치, 비회원국에 대한 정책분석 등 새로운 분야에 대해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OECD에서 논의되고 발표되는 자료는 이론을 현실에 적용한다는 차원에서 어느 학술지보다 풍부한 내용과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 연구는 2012년 하반기 동안 OECD 농업·농촌 분야 회의에서 제기된 다양한 의제들을 검토하고 국내 농정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ssues discussed in the second half of 2012 at the sessions of OECD Committee for Agriculture(CoAg) and its subsidiary bodies (APM: Working Party on Agricultural Policies and Markets, JWPAT: Joint Working Party on Agriculture and Trade, and JWPAE: Joint Working Party on Agriculture and Environment). This study drew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agriculture by finding out the global market trend and prominent agricultural policies that are recently discussed in the OECD in 2012 and by analyzing the policy responses of major countries.
Before the 159th meeting of CoAg, Global Forum on Agriculture was held based on 'Policy coherence for food security in developing countries.' Specifically it is proposed to take stock of the spill-overs of national agricultural and agriculture-related policies, to examine ways in which aid and aid-related policies can better support a structured prioritisation of investments to improve food security, to consider ways in which governments can encourage the kinds of private investment. At the meeting of CoAg, new directions for agricultural policy in U.S. EU, China among others are discussed, focusing on sustainability, productivity enhancement, adaption to climate change, and risk management on agriculture.
The key issues that were discussed at the 58th APM sessions were proposals for 2013 report on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agricultural policies and 2013 OECD-FAO agricultural outlook, introduction of Chinese agriculture, measuring the incidence of policies along the food chain, waste management in the food chain, policy framework for investment in agriculture, smallholder risk manag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a conference proposal for livestock diseases, global food security. Specifically, the report on global food security summarized the challenges for the world food and agriculture system and drawed insights from existing and ongoing OECD work and identifies areas where future OECD analysis can make an effective contribution to policy discussions.
At the 68th meeting of the Joint Working Party on Agriculture and Trade (JWPAT), member countries discussed the impacts of non-tariff measures on agricultural trade, the constraints to agricultural trade of developing countries, export restrictions on agricultural product, the impact of regional trade agreements on Chilean fruit exports. Since the research on free trade agreement is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at JWPAT, it would be desirable to properly find out reference data that may be considered in preparing FTAs.
The main topics that were discussed at the 34th session of the Joint Working Party on Agriculture and Environment(JWPAE) were as follows: policy measures for supporting green growth, climate change-related policies and agriculture-related modeling options, carbon price modeling in connection with Aglink, the GEOSHARE database project, and comparative projections on the demand for irrigation water. In order to evaluate green growth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ssemble agro-food green growth policies of OECD member countries and conduct in-depth research on the efficiency of using resources and energy. With respect to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it looks like that models such as Aglink and IMPACT will continuously be developed. Accordingly, Korea should also seek ways to actively use such models.
Researchers: Song Joo-Ho, Kim Chang-gil, Chung Ho-Guen, Lee Dae-Sup, Moon Hanpil, Kang Hye-Jung, Park Han-Ul
E-mail address: jhso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0163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2013년도 중국의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 이전글
- 농촌의 일자리 창출 사례 78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