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어촌 영향평가 전문평가 : 평생학습정책/응급의료정책

목차
제1장 서 론
제1부 평생학습 정책
제2장 농어촌의 평생학습 관련 기본현황과 선행연구
제3장 평생학습 정책 현황
제4장 평생학습 성과의 도농간 차이와 원인·요구 분석
제5장 평생학습 정책 개선과제
제2부 응급의료 정책
제6장 응급의료 정책 현황
제7장 응급의료 관련 현황과 선행연구
제8장 응급의료 정책 관련 성과 지표의 도농 간 비교
제9장 응급의료 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요약문
농어촌 영향평가는 특정 정책이 농어촌 주민의 분산 거주, 불리한 접근성 등 농어촌 특성과 농어촌의 경제‧경관‧문화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추진되도록 하는 제도이다. 농어촌 영향평가는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관련 9개 부처와 광역단위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추진되는 자체평가와 삶의 질 위원회가 결정한 정책 사업에 대하여 전문지원기관에서 실시하는 전문평가가 있다. 2011년에 처음 실시된 농어촌 영향평가 전문평가 결과는 해당 부처의 사업 개선의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올해의 농어촌 영향평가 전문평가는 교육과학기술부의 ‘평생학습정책’, 보건복지부의 ‘응급의료정책’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도․농간의 생활여건과 관련하여 가장 기본이 되는 두 가지 정책군에 대해 관련 정책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도․농간의 격차 실태와 그 원인으로서의 지역요인이 작용 여부를 분석하고 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criminative effect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of major central government policies(Life-long Learning Policy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 Policy)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in terms of rural perspective.
For the purpose, this study employed following 5 phases: related statistics and research reviewing; policy analysis and performance target identifying; performance gap analyzing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problem finding in terms of rural perspective(low accessability, low population density, small and isolated businesses, agriculture-based economic activity, lack of public resource, human and social capital shortage); and improvement measures developing.
This study suggested three measures for the life-long learning policy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implementation system for life-long learning establishment; project introduction for quality of life improvement through life-long learning; promotion of life-long learning specified for rural minorities.
Also, following four measures for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policy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re put forward: education of first responders; improvement to the advanced life support; collaboration with the medical team in community health centers; producing rural statistics.
Researchers: Sang-Jin Ma, Mihyoung Cho, and Young-kwang Han
Research period: 2012. 5. - 2012. 12.
E-mail address: msj@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1003
-
좋아요1
-
다운로드1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
- 이전글
- 농어촌의 삶의 질 실태와 정주 만족도 :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업무위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