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귀촌과 지역공동체 육성 정책의 연계 추진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귀농·귀촌 동향과 정책적 의의
제3장 농어촌에서 귀농·귀촌인의 역할
제4장 귀농·귀촌인의 지역사회 활동 사례
제5장 정책 방향과 과제
요약문
최근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와 맞물려 농어촌으로 이주하는 도시민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근대화 이후 지속적인 인구 유출을 경험했던 농어촌으로서는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농어촌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은 농업활동 종사 외에도 은퇴 후 여가 생활이나 요양, 또는 지역사회 활동 참여 등 다양한 목적을 갖고 있다. 그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그들이 농어촌에 원활히 정착할 수 있도록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동안 정부 정책은 농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이주하는 귀농인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앞으로는 농업과 더불어 농어촌에서의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는 귀촌인을 대상으로 정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그동안 소홀했던 귀촌 및 지역공동체 정책의 연계 협력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농어촌 활성화에 초점을 두고, 지역사회를 위한 귀농·귀촌인의 역할을 살펴보고, 정부와 지자체의 귀농·귀촌 정책과 지역공동체 육성 정책을 연계 추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루어졌다. 특히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와 공동으로 전국 주요 권역별로 네 차례에 걸쳐 정책세미나를 개최하여, 관련 정책들에 대하여 논의하고 귀감이 될 귀농·귀촌인의 지역 공동체 활동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Background of Research
With the growing public's interest in the returning to rural areas, numbers of urban residents are moving to rural areas. Moreover, expectations are high that the inflow of relatively young, highly educated people in the high-income category could play a big role in revitalizing the rural areas.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early stage of policy development where the focus was placed on inflow of urban population into rural areas and seek a new direction of urban-to-rural migration so that it is mutually beneficial to the local community and the migrants alike. With such a background in mind,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the migrants and seeks to find a plan that can link the migration support policy with the local community development policy.
Method of Research
To this end, this study employed literature review, collection of statistics, analysis of survey results, and holding of policy seminars. In the case of the policy seminars, which were held jointly with the Presidential Committees on Regional Development, it was held to discuss in each one of the four major regions of the country.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increase in the urban-to-rural migration is a very encouraging sign from the perspective of rural development. Moreover, there is a high expectation for policy support in that the new inflow of population can contribute much to revitalizing the stagnant rural economy.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re are many conflicting issues to consider. First, it is unclear as to who are the policy targets of rural migra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those migrants who have not chosen farming as their occupation, it is unclear as to how they can be distinguished from those who have simply relocated their residence. In other words, the differentiation of those returning to a farm from those simply relocating to a rural village varies from one administrative region to another. Second, since rural migration has been highlighted as a means of attracting population into rural areas, policies have focused less on settling in of the migrants. Third, the local communities' expectations and interest in the migrants' role of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re high.
This study examined what roles the migrants are playing in rural areas. In the case of urban-rural exchange projects or economic activities of various kinds, the activities tended to be livelier where there was a higher number of migrants. From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too, there were contributions made by the migrants as they were able to increase the synergy effect of the rural migration policy by sharing their experience of migration and playing the role of helping new migrants to settle in a rural area. As the migrants' experience of providing assistance accumulated, their role as a partner to the local government expanded too. Based on the these analysis results, for seeking solutions that can harmonize the migrants' activities with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examined cases of the migrants' local community activities and presented implications.
Based on the summary of the above discussions, the following policy directions are suggested. The government should refrain from taking a leadership role in accelerating the urban-to-rural migration and focus on minimizing the mistakes that can be made by those who are preparing to move to a rural area. Since private organizations as well as the migrants are effective in helping the settling-in of migrants and inducing their participation in diverse activities, the policy focus should also be placed on revitalizing the role of private organizations so that they can cooperate with the administration on a horizontal footing. A number of policy measures can be devised to achieve this. First, efforts should be made to induce distribution of an organizational model of private-public cooperation that can carry out the local government's rural migration policy. Second, policy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link the activities of rural migration organizations with the organizations of native residents. Third, the socio-economic fields of private organizations working for urban-to-rural migration should continuously be expanded.
Researchers: Ju-In Seong, Jung-Seob Kim, Sang-Jin Ma and Byeong-Seok Yoon
Research period: 2012. 4. - 2012. 10.
E-mail address: jiseo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0445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2012년 도시민 농촌관광 수요조사 결과
- 이전글
- 최근 5년(2006-2010) 중국의 농산물 무역 동향과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