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기후변화가 식량공급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대응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국내외 기후변화의 실태진단과 전망
제3장 기후변화와 국내 식량생산 잠재력 진단
제4장 기후변화가 식량공급에 미치는 영향
제5장 국제기구와 주요국의 대응 사례
제6장 기후변화 대응 안정적 식량공급체계 구축 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국내외 기후변화 전문기관에 따르면 지구 평균기온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기후변화가 글로벌 핵심 어젠다로 다루어지고 있다. 기후변화는 식량공급 부문에 긍정적인 측면도 있으나 부정적인 측면이 매우 강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미래의 기후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국내 농업분야 기후변화 연구는 생산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그에 따른 대응에 제한되어 있고, 기후변화가 식량공급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전략 제시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기후변화가 식량공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안정적 식량공급체계 구축방안 제시는 식량자급률이 낮은 우리나라의 미래 식량공급 정책 수립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 보고서는 「기후변화가 식량공급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원 기본과제의 최종 결과물이다. 여기서는 국내외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국내 식량생산 잠재력 진단, 식량공급에 미치는 영향분석, 국제기구의 논의동향과 주요국의 대응사례, 기후변화에 대응한 안정적 식량공급체계 구축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특히 안정적인 식량공급체계 구축을 위해 국내생산능력, 완충능력, 해외수입능력, 정책대응능력 등 네 가지 측면에서 구체적인 실천과제를 제시하여 보았다.
Background of Research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which refers to the average increase in global temperature, has become a megatrend that will lead to significant changes in future society. Korea’s and overseas agencies specialized in climate predict that the average global temperature will continue to rise. While climate change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food sector,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s are domina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lan for systematically establishing a stable food supply system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Method of Research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various analytical models were used, for example, a response analysis based on the questionnaire for farmers, an analysis of causes of pests and diseases in rice production by using the panel data, an analysis of extreme weather impacts by using the panel analysis-random effects model, and an analysis of food supply effects by using an integrated model in which the Crop Estimation through Resource and Environment Synthesis (CERES) model is connected to the 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KASMO).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An analysis was made of major grain yields by means of the KREI-KASMO to reveal reduced yields and area in comparison with the baseline in 2050, to result in rice reduction by 17.8%p in the RCP8.5 scenario, and soybean reduction by 21.2%p and barley reduction by 13.7%p in the A2 scenario. Self-sufficiency ratio of major grains in 2050 revealed that the climate change scenario for rice showed 55.0% to be reduced by 18.3% in comparison with the baseline. It is predicted that self-sufficiency ratio of rice will drop to 50% which means a half of consumed rice should be imported. Key tasks for building a stable food supply system to cope with climate change were based on the domestic production capacity, the buffering capacity, the import capacity from other countries, and the policy performance capacity with reference to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the suggested key tasks for improving the domestic production capacity include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adaptation technology, conserving farmland and expanding arable land, practicing climate-smart agriculture by using fusion technology, and modernizing the infrastructure for agriculture. Second, key tasks for improving the buffering capacity are suggested by improving resilience and bio-diversity, building a risk management system, and further storing up foo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ird, major tasks for improving the import capacity from other countries are suggested by constructing overseas food bases, effectively using the international grain market, and enhanc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involved countries. Finally, key tasks for improving the policy performance capacity are suggested by refining and applying the climate change impact analysis model to policies, expanding investment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building a vulnerability assessment system, enhancing education and training, and installing climate change centers.
Researchers: Chang-Gil Kim, Hak-Kyun Jeong, Suk-Ho Han, Jeong-Seung Kim, and Dong-Hyun Moon
Research Period: 2012. 1 ~ 2012. 12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6818
-
좋아요2
-
다운로드300
같은 분야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기술과 관련 제품의 수요자 인식 및 구매 의향 조사 결과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
임영아2024.10.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박지연2023.12.31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본(2021-2023)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학균2023.11.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어촌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이전글
- 가공식품물가의 장단기 변동요인과 대응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