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물가안정을 위한 축산물과 축산식품 유통체계 개선 연구(2/4년차)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닭고기·계란 수급 및 가격구조 분석
제3장 닭고기·계란 가격의 인과성과 비대칭성 분석
제4장 닭고기·계란 유통실태 분석과 과제
제5장 닭고기·계란 유통정책 과제 순위조사 및 평가
제6장 닭고기·계란 정책모형 개발 및 효과 분석
제7장 외국의 양계산물 유통 관련 제도 및 시사점
제8장 닭고기·계란 유통체계 개선 방안
제9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소비자 물가 안정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축산물가격의 안정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대안 마련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축산물은 전체물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작지만, 생필품으로 구입 빈도가 높고 수급 상 단기변동이 많아, 소비자가 느끼는 물가 체감도는 작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양계산물 가격의 불안정은 가축질병 발생 등으로 인한 수급변화뿐만 아니라 불합리한 유통구조도 그 원인으로 자주 거론되고 있다. 양계산물 가격안정을 위해 정부에서 여러 차례 수급 및 유통구조 개선 대책을 발표하였으나, 정책의 효과에 대한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다양한 정부대책에도 불구하고, 양계산물 가격의 불안정성이 반복되는 이유 중 하나로 양계산물 수급 및 유통구조에 대한 정보부족을 지적하고 있다.
이 연구는 축산물 중 닭고기 및 계란의 수급 및 가격 구조를 분석하고 유통실태를 조사·분석하여 개선 과제를 도출하며, 유통 관련 정책 평가와 외국사례 분석을 통하여 닭고기 및 계란의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통단계별로 유통주체에 대한 설문조사, 전문가 그룹을 통한 유통정책 평가, 정책모델 개발을 통한 정책의 효과 분석, 그리고 외국 사례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Although the proportion of livestock products in total consumer prices is very small, they are daily essentials with high purchase frequency and fluctuate much in demand and supply in a short period of time. We can classify the issues of price instability of livestock products which affect consumer prices into the problem of demand and supply and the problem of unreasonable distribution structure. A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for the stability of consumer prices are recognized more, the demand for an effective policy alternative to stabilize the price of livestock products increases. For the stabilization of livestock product prices,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policies on demand and supply and distribution structure several times already but evaluation on the effect of the policies has almost not been made to date while there is not much research being done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is to be performed over a period of 4 years in total targeting the markets for beef, pork, chicken, egg, duck, milk and other livestock products (ham, sausage and processed dairy products) as objects for analysis. The 2nd year research aims to develop a simulation model that enables the measuring of the effects of diversified policies (plans) by analyzing the demand and supply and the price structure of the markets for chicken and egg out of livestock products, identify the tasks for improvement by conducting surveys and analyses of the actual state of distribution, and present a method for improving the distribution structure for chicken and egg through evaluation of distribution related policies and analysis of foreign cases.
Method of Research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1 presents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research, preceding research and the method of research, and Chapter 2 covers the demand and supply and price structure of chicken and egg markets. In Chapter 3, causality and asymmetry of chicken and egg prices were analyzed while the actual state of chicken and egg markets in the distribution stage was analyzed and tasks were derived therefrom in Chapter 4. In Chapter 5, surveys and evaluations were done for distribution policies for chicken and egg, and development of livestock product distribution policy model and its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in Chapter 6. Chapter 7 analyzed the poultry products prices and distribution policies of Japan and the U.S. and drew implications. In Chapter 8, a basic direction and a plan for improvement of the distribution system for chicken and egg markets were presented, and lastly summary and conclusion were presented in Chapter 9.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basic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chicken and egg distribution system for price stabilization through this research is as follows. As chicken and egg markets were identified to have price asymmetry in each distribution stag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multi-level distribution structure of poultry products should be solved and price instability should be mitigat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of all, distribution steps should be either decreased or integrated to increase price linkage in each distribution step. Second, a virtuous cycle structure where consumer prices react reasonably to demand and supply situ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he distribution system for poultry products needs to be improved toward a direction minimizing the decision-making steps of distributors.
As a plan to improve the chicken and egg distribution system, the following are required at the production stage: ① Productivity enhancement of poultry products and quality improvement of production elements are necessary. ② Producers' organization for production of poultry products and the functions of egg gathering places should be activated. ③ A cold storage distribution system and a package distribu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t the wholesale stage, the following are required: ① Sanitation management of chicken production factory should be reinforced and the base for the export of chicken should be established. ② Processing of poultry products should be stimulated and the demand base should be expanded. ③ Egg distribution centers should be installed to stimulate distribution of eggs.
At the retail stage, the following are required: ① An egg tracking system should be built and a direct cyber trading system should be activated. ② Crackdown of rotten meat (eggs) should be reinforced and a product origin indic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Lastly at the pricing stage, the standard price for poultry products should be revised and its representativeness should be secured.
Researchers: Min-Kook Jeong, Byung-joon Woo, In Bae Ji, Woo Jin Song, Myoung-ki Lee, Kyung-Soo Nam, Chang-beom Lee
Research Period: 2012. 1~2012. 12
E-mail address: mkjeo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6180
-
좋아요0
-
다운로드89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여성농업인의 경제·사회적 역할 제고방안(1/2차연도)
- 이전글
- 농지상속 실태와 정책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