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부문 자조금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우리 농업부문 자조금제도
제3장 자조금 운영 실태 분석
제4장 자조금제도 개선방안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업 생산자들이 시장개방에 대응하여 스스로의 이익보호를 위해 자조금을 조성·운영해온 지 20년이 지났다. 1992년 양돈자조금과 산란계자조금으로 출발한 자조금은 이제 34개 품목으로 확대되고 사업내용도 다양화되는 등, 양적·질적인 면에서 급속한 성장을 보였다. 하지만 우리 농업 자조금은 선진국 자조금에 비해 제도 및 운영에서 보완하고 발전시켜야 할 과제가 적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이 연구는 농업 자조금 20년의 성과와 문제를 되짚어보면서, 자조금 정책방향을 재점검하고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작되었다. 자조금제도의 목적에 비추어 법적·제도적 기반과 내용을 검토하고, 자조금단체의 관리·운영 실태, 선진국 자조금 제도의 조사 분석을 통해 제도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Agricultural checkoff programs have been operating for about 20 years in Korea. They commenced with the purpose of protecting agricultural producers' interests in response to the openness of agricultural markets. Although there is an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checkoff programs, some limitations remain in the operations and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suggest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agricultural checkoff programs in Korea.
Method of Research
This study deals with whole agricultural checkoff programs, which are subsidized in the form of matching fund by the government, except fisheries checkoff programs. Prior to starting research, we examined the issues of checkoff programs through previous studies. Information and opinions on checkoff programs were collected through visits to checkoff organizations (including the U.S. checkoff boards and offices) and the government sponsored evaluation team which assesses the operations of horticultural checkoff programs. In addition, improvement measures were discussed in the policy forum held by KREI.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In this study, we suggest ten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analysis of checkoff program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First, it is time to change the policy direction of checkoff programs from “initiation of checkoff programs” to “'soundness of checkoff programs”. Second, for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the checkoff programs sh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mandatory checkoff programs, mandatory checkoff programs in the preparatory phase, and voluntary checkoff programs. Third, for the mandatory checkoff programs, we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letting the government collect levies. Fourth, continuation or termination of the program should be decided by all members, not by the board of representatives. Fifth, the Livestock Checkoff Act, which prohibits the use of government subsidy for TV or radio advertising, should be revised. Sixth, the ceiling on operating expenses for checkoff programs needs to be flexible to be adjusted if needed. Seventh, to encourage the voluntary checkoff program to move to mandatory program, the rate of government subsidy needs to be lowered for the voluntary programs older than 10 years. Eighth, the “voluntary supply-demand adjustment”, which is one of the functions of the checkoff program stated in the Checkoff Act, should be selectively applicable to individual commodity checkoff program under its article of association, allowing for its unique features. Ninth, cooperation among small checkoff programs will be desirable and needs to b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for efficient management. Tenth,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heckoff programs, data management and analyses should be conducted and supervised in a scientific manner.
Researchers: Seong-Jae Park, Joon-Kee Park, Wonho Chung, Ji-Eun Lim
Research Period: 2012. 1~2012. 12
E-mail address: seongjae@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2901
-
좋아요3
-
다운로드144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촌 공동시설의 유휴화 실태와 활용 증대 방안
- 이전글
- 농업부문 위험과 포트폴리오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