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어업인삶의질향상계획심층평가: 도시민 및 귀농인력활용 강화정책/농어촌 취약계층 복지지원정책

목차
제1장 서 론
제1부 도시민 및 귀농인력 활용 강화 정책
제2장 도시민 및 귀농인력 활용 강화 정책의 개요 및 평가틀
제3장 도시민 및 귀농인력 활용 강화 정책의 추진 현황
제4장 도시민 및 귀농인력 활용 정책 평가
제5장 도시민 및 귀농인력 활용 강화를 위한 정책 제안
제2부 농어촌 취약계층 복지 지원 정책
제6장 농어촌 취약계층 복지 지원 정책의 개요와 평가틀
제7장 농어촌 취약계층 복지 지원 정책의 현황과 평가
제8장 정책 개선방안
제3부 종 합
제9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고령화와 인구 감소, 취약한 소득 기반으로 인한 농어촌의 활력 저하 문제에 대응하고자 2004년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이 도입되어 시행되어온 지 9년째로 접어들고 있다. 현재는 2009년도에 수립한 제2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2010~2014)에 입각하여 시행계획이 수립되어 여러 부처마다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농어촌의 삶의 질 향상정책은 십여 개의 중앙 부처가 참여하는 범정부 차원의 과제인 만큼 그 정책 성과와 한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향후 정책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작업은 중요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과거에는 삶의 질 향상계획에 포함된 사업들에 대해 단편적으로 평가 작업이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그 까닭에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이 실제로 얼마나 향상되었는지 효과적으로 보여주지는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이런 점에서 2011년도부터 삶의 질 향상계획에 대한 심층평가를 실시하게 된 데 대해 적지 않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심층평가 작업은 관련성이 높은 복수의 사업들로 구성된 정책군을 대상으로 진행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전에는 평가가 대체로 개별 사업을 단위로 이루어져서 실질적인 정책 평가로서 기능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는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다.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개선 성과를 보다 포괄적이고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정책의 과학화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이 보고서는 2011년도의 심층평가 대상 과제인 ‘도시민 및 귀농인력 활용 강화’ 및 ‘농어촌 취약계층 복지 지원’ 정책에 대한 작업 결과를 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policy groups included i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for Farmers and Fishermen and Rural Development Scheme. A policy group means a series of programmes or projects concerning a particular objective(There are 22 policy groups about 7 subjects in the scheme). For the year 2011, we evaluated two policy groups; ① Making better use of urbanites and people moving into rural areas, ② Supporting social welfare of the vulnerable in rural areas. The evaluation follows the phases of 'policy formation' 'policy execution' - 'policy outcome'. From the result of evaluation, we suggest improvement of concerning policies.
This research largely consists of two parts. Part 1 is the evaluation part of 'Making better use of urbanites and people moving into rural areas', part 2 is the evaluation part of 'Supporting social welfare of the vulnerable in rural areas'. In order to evaluate the concerning policies, we set up the evaluation framework and the major considerations of each evaluation phase are as follows.
·Policy formation: appropriacy of the objective of the policy group, appropriacy of policy means to achieve the objective
·Policy execution: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concerning policy group, efficiency of the executive process
·Policy outcome: result, outcome and ripple effect of the policy group
We used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s, statistical analyses about concerning programmes/projects and case studies of three municipalities(Geumsan-gun, Gochang-gun and Bongwha-gun) including residents' opinion surveys.
In relation to part 1, even though we can find some possibilities of using urbanites and people moving into rural areas in vitalizing rural regions, it is quite a premature stage of the policy. The policy group is lacking sufficient concerning programmes and projects. Present policy support is considerably limited to the people who come to rural areas for agriculture. The implementation system is government-oriented and private sector does not have sufficient roll in the policy. From the result, we suggest that the policy direction be more headed to extending urbanites and new comers's role in their newly settled region from simply attracting them to rural areas. For this, it is required to draw up support measures to help urbanites and new comers in rural areas to settle down in and to make full use of their capacities in developing their rural region.
In relation to part 2, as the number of the vulnerable(such as elderly people, multicultural families, etc.) in rural areas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 social welfare programmes i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for Farmers and Fishermen and Rural Development Scheme are showing a certain policy outcomes. But delivery system of social welfare in rural areas is still inadequate. Moreover, social service for rural vulnerable groups in policy blind spot such as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families and the disabled is far more deficien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suggested that the policy direction move from 'dispensational' perspective to 'productive and participational' perspective and take integrated approach to guarantee that social service i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delivered to the wide range of rural vulnerable groups.
Researchers: Joo-In Seong, Dae-Shik Park, Ma Sang-Jin and In-Hye Kwon
Research Period: 2011.3~2011.12
E-mail Address: jiseo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2901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어촌 영향평가 전문평가: 방과후학교 정책 / 여성 경제활동 확대 정책
- 이전글
- 2011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점검·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