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구조정책의 평가와 방향정립에 관한 연구 : 쌀 농업을 중심으로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업구조정책의 개념과 범위
제3장 농업구조정책의 추진 경과와 실적
제4장 농업구조정책의 성과 평가
제5장 외국의 농업구조정책 동향
제6장 농업구조정책의 전환 방향과 체계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업구조정책이란 농업경영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농업생산성을 높이려는 정책을 말한다. 우리의 농업경영구조는 영세분산 농지에서 소규모로 농업을 경영하는 이른바 ‘영세소농구조’로 집약된다. 농업구조정책의 목표는 도·농간 소득균형을 이룰 수 있는 농업경영구조를 실현하는 것이다. 유럽과 일본에서는 1960년대 초부터 농업구조정책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또한 1962년에 처음 도입하였으며 1992년부터 투융자계획의 뒷받침을 받아 본격적으로 시행하였다.
현행 농업구조정책은 고령·영세농을 퇴출하고 그들의 농지를 대농층에 집적하여 영농규모를 확대하도록 하는 농지유동화 정책이 중심이다. 이를 위해 농어촌소득원 개발, 영농규모화 사업, 농업생산기반 정비, 농업기계화와 시설 현대화, 기술 혁신, 농업인력 및 경영체 육성 등의 정책이 시행되었다. 앞으로도 농업구조정책이 필요한지, 어떤 방향의 정책수단을 선택해야 할 것인지 재검토할 시점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장 서론, 제2장 농업구조 및 농업구조정책의 개념과 범위, 제3장 농업구조정책의 경과와 실적, 제4장 농업구조정책의 성과 평가, 제5장 외국의 농업구조정책 동향, 제6장 농업구조정책의 전환 방향과 정책체계, 제7장 요약 및 결론이다.
This study seeks to find a new direction of agricultural structure policies focused on rice farming structure. Specific focuse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s. First, a necessity of directional transition of the current agricultural structure policies is reviewed. Second, a feasibility of the new direction of the agricultural structure policies is considered. Last, a new direction and institutional instruments of the agricultural structure policies are provided.
I reviewed a necessity of directional transition of the current agricultural structure policies through three perspectives. First, the current agricultural structure policies encourage each farmer to increase acreages leading to high productivities of inputs(labor and land), a growth of large-size farms(more than 3 ha), and a spread of mechanization-usage in farming. However, it did not accomplish fundamental policy goals. An increase of farming scale of individual farmers does not necessarily conclude an increase of overall farming scale. Issues with respect to an insecurity of farming successor and an inefficient application of inputs such as labors, machines, and land are another problems. An effort to increase income accrued in non-agriculture and by-work is more efficient than an increase of agricultural income through an expansion of farming size. Second, a development of foreign agricultural structure policies shows a transition from farming-size increase of family farmers to juridical organization of farmers. It also shows a political transition from agricultural productivity increase to multi-functionalities of agriculture regarding to regions, resources, environments, and food safeties. Third, based on a change of the current domestic and foreign agricultural situation, there are several issues to be clarified. The issues include (1) re-organiza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to achieve food security, (2) an income security of crop and livestock feed farming, (3) an organization of region-unit farming business to aim an enhancement of both price and quality competitiveness, (4) an usage-extension of eco-friendly agriculture and new recycled energy supporting a prevention of natural disaster, (5) a support for an entry to agriculture and an agricultural corporation business facing with both an reduction of young labor and an increase of aged labor in rural areas, and (6) a complication and a multiplication of agribusiness to achieve a security of rice farmers income.
Next, I performed a case-study of organization-businesses of rural communities of Korea, Japan, and China in order to find feasibilities of a new direction of agricultural structure policies. Organization-businesses of rural communities at regional level cannot replace family farms, but they complement family farms. Furthermore, they are effective with respect to a group work, a group-wise usage of agricultural machines and facilities, a group-wise marketing, and an extension of a farming scale.
Last, I proposed a new direction of the agricultural structure policies as the followings: (1) a transition into an institutionalization and organization of farm households from policies focused on an increase of an individual farm-size, (2) an increase of organization-businesses of rural communities at regional level, (3) a conversion from an enlargement of agricultural income by a large farm-size into a focus on non-agricultural income increase by an accomplishment of a complex and multiple agricultural business.
Researchers: Seok-Doo Park, Jeong-Ho Kim, Chang-Ho Kim
Research Period: 2011.1~2011.10
E-mail Address: sdpar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5489
-
좋아요0
-
다운로드65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촌 지역 활성화 정책의 평가와 발전 방안
- 이전글
- 한·중 농업정책시뮬레이션모형: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