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한·중 농업정책시뮬레이션모형: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전략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중국의 농산물 수급 현황 및 변화 요인
제3장 중국의 중장기 농산물 수급 전망
제4장 중국 구조변화의 파급 영향
제5장 요약 및 시사점
요약문
WTO 가입에 따른 농산물 시장 개방 확대와 지속적인 경제성장은 중국 농업의 구조변화를 가져왔다. 농산물 시장 개방으로 수입이 증가하였고, 소득수준 증가로 식생활 패턴이 변화됨에 따라 과거 식량작물 생산 위주에서 축산, 채소, 과일 등의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 농산물 시장과 국내 농산물 시장에 있어서 중요성과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어 중국의 농산물 수급변화에 따른 파급영향 분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중 FTA에 대비하여 중국농업전망모형(CAPSiM), FAPRI 국제모형, KREI-KASMO의 연계를 통해 중국의 농산물 수급 변화가 한·중 농산물 교역 및 우리 경제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중국농업과학원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곡물, 채소, 과일, 축산물 등 총 14개 품목의 수급 동향을 분석하고 중장기 수급전망을 시도하였다. CAPSiM에 포함되지 않은 중국의 채소, 과일은 품목별 모형을 별도로 구축하여 중장기 수급 전망을 실시하고 국내 파급영향을 계측하였다. 한편, 미국 미주리대학의 식품농업정책연구소(FAPRI-MU)와의 공동연구로 중국의 곡물과 축산물 수급변화가 세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국내 파급영향을 전망하였다.
With a 2010 population of more than 1.35 billion people, China is home to roughly 20 percent of the world’'s inhabitants. This fact alone makes China’'s demand for agricultural products a huge factor in how world prices for agricultural commodities behave. However, not only is China’'s percentage of world population large, its share of world GDP is growing. With China’'s real GDP expressed in U.S. dollars more than doubling from 2003 to 2010, China’'s share of world GDP has increased from 4.0 percent in 2002 to 7.4 percent in 2010. Considering that agricultural producers in China are also facing constraints on the availability of land and water that will make it difficult to sustain large increases in their agricultural production base, large jumps in demand for agricultural products within China could have profound effects in world markets, affecting other nations who are major suppliers or major importers of these goods.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 & indirect impacts of agriculture trade and Korean economy by the structural change of China in supply & demand sides through the linkage between Chin Agriculture Policy Simulation model(CAPSIM), Food & Agricultural Policy Research Institute(FAPRI) world model at the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in U.S. and 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KREI-KASMO).
Through the co-project between Chinese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CAAS) and KREI, We tried to forecast 10 years base's long-term China agricultural supply-demand based on CAPSIM including 13 item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ing Chinese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policies on Korea agriculture. Unfortunately, CAPSIM did not cover on vegetables and Fruits yet, We tried to build structural models on these items and added this modules to CAPSIM to predict future.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co-project between Food & Agricultural Policy Research Institute at the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FAPRI-MU) and KREI, This study calculated the world impacts on the China demand's structural change in terms of prices and trade volumes. This analysis considered how a 10 percent increase in China’'s domestic consumption of seven different commodities (rice, corn, wheat, soybeans and soybean products, beef, pork and chicken) would impact world prices for these products, internal Chinese prices, and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se goods within China as well as the rest of the world. An additional
study is conducted in which China’'s real GDP is allowed to increase 10 percent in order to assess the changes from stronger than expected income levels in China.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analysis assumes that any increases in China domestic consumption above and beyond production increases result in increased net imports. While the government has a history of using trade barriers to protect China’'s domestic industries (some industries have been protected more than others), this analysis assumes that all additional demand will be met by increases in Chinese production or more imports. No assumptions are made about increased levels of trade protection.
We anticipate that this study is meaningful first stage project as a part of establishing the world model in KREI to prepare the various FTAs and Global agriculture supply-demand projection on world grain outlook for stabilization of domestic price.
Researchers: Suk-Ho Han, Hyung-Jin Jeon, Jun-Ho Seung
Research Period: 2011. 1 ~ 2011. 10.
E-mail Address: shohan@krei.re.kr, hjchon@krei.re.kr, jhseu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2507
-
좋아요0
-
다운로드23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구조정책의 평가와 방향정립에 관한 연구 : 쌀 농업을 중심으로
- 이전글
- 한·중 농산물 경쟁력 및 교역장벽 분석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