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연구(2/2차연도)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사회적기업과 지원정책 현황
제3장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유형과 유형별 발전 과제
제4장 농촌지역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 육성과 네트워크 활성화
제5장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사업모델
제6장 사회적기업 육성 정책의 문제점과 제도 개선 방안
제7장 결 론
요약문
농촌지역 인구의 과소화 및 고령화, 경제력 저하, 기초적인 사회서비스 부족으로 우리 농촌은 해체 위기에 처해 있다. 농촌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농촌개발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으며, 지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정부의 적극적 육성정책과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자 하는 지역민들의 노력이 만나면서 여러 영역에서 사회적기업이 생겨나고 있다. 사회적기업이 가지는 태생적인 한계에 더하여 농촌지역의 사회적기업은 가용 자원의 부족, 기업운영 역량 부족, 투자자본의 부족 등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2년차인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제도개선방안을 도출했으며, 유형화의 이론에 근거를 두고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에 대한 유형화와 유형별 차별적 정책 시행의 필요성 및 방안을 제시했고, 사회적기업의 성공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간지원조직의 실태를 파악하여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을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바람직한 운영방향과 방안을 제시했으며, 농촌지역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실질 조사를 통해 업종별 사업모델을 모색했다. 또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이 가지는 환경적 제약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육성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is the second year report of the two-year collaborative research entitled 'A study on alternatives promoting social enterprises for re-vitalizing rural areas and creating jobs in rural areas. This study consists of four sub-research subjects.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for promoting vitalization of rural areas. However, rural areas have collapsed due to the decrease of population, economic status, and the deficit of fundamental social services. Big businesses, which got benefit from opening market, cling to the pursuit of their profit maximization and close eyes on social responsibility. Recently, several departments of government are implementing various community development policies.
Interests about the social enterprise as a third alternative have been escalated for making structural retardation of rural areas, community vitalization, and the increase of people's quality of life better. In particular, social enterprise promotion policy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focused on job creation added "the type of community contribution" to it's policy purposes. According to this addition, social enterprise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ural communities. However, similar policies have been propelled by several Ministries such as the promotion of village corporation, community business, and farming and fishing community corporation resulted in the problems of efficiency, complexity, and moral hazard of latent policy beneficiar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pict the problems of the promotion policy of social enterprise, to find out policy amendment directions, and to suggest alternatives promoting social enterprises in rural areas.
We tried to establish typology of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oretical base and to find out proper support alternatives based on various rural social enterprises. We also tried to suggest a proper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 for rural social enterprises. In addition, we tried to set up business models for rural social enterprises based on business items.
We found out several problems which are needed to be amended in order to promote social enterprise in rural areas. Included are as follows: MOEL's monopolistic certification system, inefficiency resulted from overlapping similar policies, ignorance of social economic conditions, the shortage of the diversity of supports, the ignorance of spacial distribution, the unsystematic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diffused implementation system, and the lower policy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We suggested several alternatives to amend the policy system. Included are fostering project localization, applying different and various policy approaches to rural social enterprises, admitting general use of the name of 'social enterprise', preparing the second stage support system, differentiating supports from the business types and locations of social enterprises, depicting more social purposes, strengthening security and function of intermediary organiz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ir legal foundation, and establishing independent institution for social enterprise, and so on.
We also develop some alternatives for developing social enterprises in rural areas. Included are as follows: national and regional networking and connecting regional resources, affirmative market for social enterprises, establishment of special investment funds for rural social enterprises, the expansion of partnership between general businesses and social enterprises, the establishment of advertising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supporting system for education, consulting, and technology development. These alternatives ar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in rural areas.
Researchers: Gyu-Cheon Lee, Nae-Won Oh, Sang-Jin Ma, Kwang-Sun Kim, Chang-Ho Kim
Research Period: 2011.1~2011.10
e-mail address: gclee@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9023
-
좋아요0
-
다운로드32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유형별 특성과 발전 과제
- 이전글
- 농촌 문화산업의 실태와 육성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