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해외농업개발사업의 사업타당성 분석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사업타당성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제3장 해외농업개발사업의 사업타당성 분석
제4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
요약문
최근 국제 사회는 과거에 전무했던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을 경험하면서 식량안보문제와 식량자원확보 문제가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중국, 중동국가들은 국영기업을 통한 해외농지 확보 및 해외농업개발을 통한 식량자원 확보에 매진하고 있으며, 민간 투자전문회사들은 투자포트폴리오의 일환으로 곡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움직임 속에 후발주자인 우리나라도 해외농업개발 사업이 올해로 4년째를 맞이하고 있다.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 업체도 있지만, 진출 기업 대부분이 초기 정착단계에 있기 때문에 국내 도입물량 확보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해외농업개발사업은 대규모 투자자금이 소요되는 장치산업이므로 투자리스크가 크다. 또한 투자 대상국의 거시변수의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정치·사회적 여건에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해외농업개발 사업타당성 분석은 현지 인플레이션, 국가신용도 등 투자리스크를 높이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보다 심층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 해외농업개발관련 사업타당성 분석과 차별화된 사업성 평가를 통해 기 진출 기업의 사업성을 재진단하고 해외농업개발사업 관련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 진출기업을 대상으로 재무이론에 근거한 사업타당성 분석을 기본으로 하되, 현지 인플레이션과 국가신용도를 고려하여 보다 엄밀한 사업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업타당성 분석의 표준화된 통계프로그램인 COMFARⅢ를 이용하여 분석 결과의 공신력을 높였다.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has been rapidly increasing since 1990s which trend is anticipated to continue in future. Although the importance of overseas development project and the project feasibility study increase recently, the financial and the economic studies of those are still insufficient. Thus it's necessary to properly set up accuracy of project feasibility study and its thorough analysis in order to win project on successful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invest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variation of the projects using feasibility study.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considered the several check factors such as country risk, interest rate, and exchange rate for project feasibility study, which is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decision making. Especially, this research has on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other feasibility study methods concerns the way in which this study use computer program. COMFAR Ⅲ Expert was used and which is a computer program which supports project pre-investment studies. It facilitates data organization, computations and the production of pro-forma reports on finan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Thu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study analyzed the economic feasibility study on their projects using the analysis of financial statements on two successful projects which are 'Dol-nara Co.' and 'Chungdam O.A.D. Farm Corp.', respectively, Both of them have project feasibility, which indicate NPV-values of them are bigger than zero and also IRR of them are bigger than WACC using applying the variation conditions which are the fluctuation of country risk, unit price, management cost and so on. This research is meaningful for laying the foundation of the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the feasibility study as well as the accuracy of feasibility study. This research put it significance in applying the variation conditions of project feasibility anaysis and suggesting importance for a successful analysis of project feasibility. Especially, the application of the project variation conditions make it possible to forecast various risks, thus, effective project feasibility being expected to be actualized.
Researchers: Kim, Byeong-Ryul; Lee, Byoung-Hoon; Jun, Ik-su; Yoon, Jong-Yeol; Min, Ja-Hye
E-mail address: br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68058
-
좋아요0
-
다운로드71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식량안보체계 구축을 위한 해외농업개발과 자원 확보 방안(3/3차연도)
- 이전글
- 생협 경제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