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육묘산업의 실태와 발전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육묘산업의 동향 및 전망
제3장 종자회사의 육묘장 종자 공급 실태와 문제점
제4장 육묘업체의 육묘 생산·판매 실태와 당면과제
제5장 농업인의 육묘 이용 실태와 개선과제
제6장 해외선진국의 육묘산업 동향과 시사점
제7장 육묘산업의 발전 방안
제8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육묘는 농작물 생산의 전초 단계로서 생산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한 원천산업으로 예전부터 모종을 기르는 일은 ‘절반농사’라고 할 정도로 육묘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더욱이 육묘는 발아, 접목‧활착, 생장조절, 병해충 관리 등 재배관련 모든 기술이 집대성되는 정밀산업이다. 특히, 육묘는 조기 수확 및 증수 효과는 물론, 경지 이용도 향상과 함께 종자 발아율 상승과 소요량 절감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가 육묘보다는 전문 육묘장에서 생산한 묘를 구입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원예농가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육묘장 면적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육묘산업 보호와 육성을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는 미흡할 뿐만 아니라 기초적인 실태 파악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농업의 원천산업으로서 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육묘산업의 동향과 실태 파악을 통해 육묘산업이 성장동력산업으로 정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Raising seedlings is the precondi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it is so important tha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e success of agricultural production depends on it. The seedling industry is also the base industry of agricultural production since it can induce division of labor and specialization. As the number of farmers who use a seedling farm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e size of land for raising seedlings was significantly expanded from 20 ha in 1997 to 159 ha in 2010, and it is anticipated that the size will increase further in the futur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industry trends,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seedling industry, and present a strategy to develop the industry.
In order to identify the state of seed supply at seedling farms, 17 seed companies, which are members of Korean Seed Association, were surveyed. As for the state of production and sale of seedlings, 70 seedling suppliers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a survey of 740 farmer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state of seedling usage, and 51 experts who are members of the seedling research club 'Plugseedling' were surveyed to identify the technology level of the seedling culture and make a priority list for policy support. To examin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seedling companies,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as used, and the Delphi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level of seedling technology. As for the method of drawing up the policy priority list,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used.
In order to address the problems that were found in the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the seedling industry, an advanced system of raising seedlings has to be established to supply high-quality, superior seedlings and stabilize agricultural production. The detailed development strategies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as the technology level of raising seedlings lags behind advanced countries in many aspects, individual effort by the seedling companies is required. Also, it is necessary to make a precise diagnose of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with the assistance of academic researchers and develop technologies suitable for the seedling environment of each seedling farm. The edu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seedling technologies should then be carried out through a system.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R&D investment for seed breeding companies to develop superior breeds and link it with active support policies of the government. Also, it is necessary to seek higher efficiency of seedling production by developing advanced seedling materials and automation technology.
Third,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seedling companies through professional manpower, automation facilities, and energy-saving facilities and promote seedling export to secure the new demand created by increased urban agriculture.
Fourth, creation of infrastructure for each phase of seedling production, as well as active government support, is essential for the seedling industry's development. Also,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solve seedling-related disputes and prepare systematic means, such as a seedling supplier registration system, to supply uniform seedlings and protect and foster the seedling industry.
Researchers: Ki-Hwan Park, Hyun-Tae Park and Hye-Sung Han
E-mail address: kihwa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8660
-
좋아요0
-
다운로드213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중국 농업의 구조변화와 한·중 농산물 교역 전망
- 이전글
- 산지유통정책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