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천안시 식품산업 중장기 발전계획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식품산업 동향과 식품정책
제3장 천안시 농업의 구조와 특성
제4장 천안시 식품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제5장 천안시 식품산업 발전전략
제6장 천안시 식품산업 발전 세부 사업 계획
제7장 천안시 식품산업 투자 계획
요약문
세계 식품시장의 규모는 4조 달러를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자동차나 정보통신 시장의 규모를 능가하는 것이다. 식품 시장은 인구 및 소득의 증가에 따라 그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특징이 있다. 최근에는 식품산업을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미래 유망산업으로 농어업 발전을 견인하고 국가 브랜드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는 성장 잠재력이 큰 산업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다.
2008년 농림수산식품부가 출범하면서 식품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이 본격적으로 입안되고 실현되기 시작하였다. 정부는 2008년 11월 식품산업 발전 종합대책을 발표하였으며, 2011년에는 2단계 식품산업 발전 종합 대책을 발표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식품산업에 대한 정부 정책이 확대되면서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식품산업 육성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식품산업 육성 시책은 주로 단기적 개별 사업 위주로 추진되고 있어 지역 식품산업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사례는 찾아 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연구는 지역 식품산업에 대한 종합적인 중장기 발전 계획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천안의 농업 및 식품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에 기반하여, 천안 지역 식품산업의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세부 사업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Cheonan city government is making every effort to boost the local food industry, e.g., hosting the Wellbeing Food Expo in 2009, development of various localized food,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evelopment strategies and prepare long-term development plans for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food industry in Cheonan. In particular, one of the key tasks is the development of food industry has to be affilliated to development of agriculture in Cheonan.
The farmland area in Cheonan is 15,237 ha which is 0.88% of the nationwide farmland in Korea. The number of farming households is 13,408 which is 6.31% of the number of entire households in Cheonan and 1.12% of the entire farming households in Korea. Production of food crops, vegetables and fruits in Cheonan is 45,659 tons, 31.170 tons and 53,927 tons, respectively, which is 0.75%, 0.33 and 1.87% of the nationwide production, respectively. Farm products in Cheonan are characterized by relatively small scale production of vegetable, but relatively large scale production of fruits. The number of food manufacturers in Cheonan is 570 and the number of employees is 5,317, which is 1.04% and 1.94% of the nationwide numbers, respectively. The number of restaurants in Cheonan is 7,031 and the number of employees is 18,473, which is 1.22% and 1.17% of the nationwide numbers, respectively.
Since most of medium-scale food producers in operation in Cheonan use imported agro-products as raw material or a large amount of relatively cheap agro-products, it is hard to connect them with agricultural production in Cheonan. On the other hand, most of localized principal products, e.g., alcohols, chilly pastes and the like are produced with local agro-products, but they are produced by small-scale food producers which have a small influence on local farming. Some of producers' organizations, e.g., Nonghyup(Agricultural Cooperatives), have a plan for restaurant business, but are not relatively highly interested in food production business. Response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 producers' organizations for provision of school lunch is not systematic, so that the system of environment-friendly school lunch prepared with local agro-products is not settled yet.
The future of development of food industry in Cheonan is promising, in light that Cheonan is an important place for transportation located near to the capital area, a balanced region of urban and rural districts, abundant local food resources, etc. In particular, with efficient response to changing conditions, e.g., continuous growth of the food market, more demand for healthy foods for wellbeing, spreading environment-friendly diet, etc., Cheonan has a potential that the food industry of Cheonan will be a new growth power for Cheonan. For developing the food industry in Cheonan, it is necessary to set a strategic objective, e.g., organizing a safe food supply system, spreading localized food and diet, cooperating with agricultural, business and industrial sectors in combination, and developing Cheonan as a noted place for healthy food, thus to embody the strategy step by step by means of long-term plans.
For developing the food industry in Cheona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 local food center which will lead provision of school lunch, local food, and development of the localized food industry. It is necessary to host the International Healthy Food for Wellbeing Expo to develop Cheonan as a famous healthy food place for wellbeing and to establish a World Ethnic Food Park to create a landmark symbolizing Cheonan's food industry.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added values of fruits produced too much by means of joint projects for aging distilled fruit alcohols and to develop various localized foods.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to be encouraged for localized food for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food industry in Cheona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growth basis for the food industry in Cheonan by creating a large scale food industry complex. The effect of top branded local food of Cheonan will be achieved by promoting the special district project for the Byungchun Soondae Cluster and the Healthy Hodoo(Walnut) for Wellbeing project. It is predicted that the cost of 90.8 billion won will be needed for 10 years from 2011 for boosting the food industry as described above.
Researchers: Gouk Seung-Yong, Choi Ji-Hyeon, Cho So-Hyun and Kang Hye-Jung
Research period: 2010. 4. - 2011. 1.
E-mail address: gouksy@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2047
-
좋아요2
-
다운로드1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Agriculture in Korea 2010
- 이전글
- 농업보조금 개편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