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기계 관리제도 도입을 통한 효율적 운영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업기계 생산 및 보급 동향
제3장 농업기계 안전사고·분실 실태 및 문제점
제4장 농업인 피해 방지를 위한 농업기계 관리제도 도입 및 효과
제5장 해외선진국의 농업기계 관리제도와 시사점
제6장 농업기계 관리제도의 효율적 운영 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국내 농업은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등으로 인해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한 농업기계화를 통해 농촌노동력 감소에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벼농사의 기계화율은 거의 100%에 도달하고 있어 노동력 부족과 안정적인 농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농기계 안전사고가 지속적 발생하고 있으며, 정확한 보유 현황도 집계되어 있지 않아 농기계산업의 선진화 기반 구축의 필요성이 계속 제기되어 왔다.
이에 농촌진흥청 농기계산업선진화추진단은 농기계 등록제도와 농기계 운전면허제도 도입, 농기계 보험제도 강화 등이 주요 핵심 사항으로 포함된 ‘농업기계 관리제도 도입방안’을 마련하여 발표하였다. 농기계 관리제도는 도입이 필요한 시책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이로 인한 효과와 문제점의 심층적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리제도 도입에 앞서, 발생되는 장점과 단점을 비교·분석한 후 보다 효율적인 농기계 관리제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Even though Korean agriculture is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arising from labor shortage due to the aging of farmers, the industry is coping with the problem through mechanization of agriculture. However, safety accidents occur continuously and there isn't even a precise data on how many units of farm equipment and machinery are owned by farmers. As a result, there have been continued talks about the need to lay down a foundation to modernize the agricultural machinery industry.
In response to such a need,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prepared and released a plan to adopt an agricultural machinery management system. However, even though it is a necessary policy, there has not been an in-depth review of the effects and problems of introducing an agricultural machinery management system. Therefore,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esent a more efficient management system by compar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introducing the system before it is introduced.
The agricultural machinery registration system proposed by RDA makes it possible to verify the ownership of agricultural machinery when the farmer exercises their property rights and when the farmer suffers an economic loss. Also, it can promot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a policy by building precise data about agricultural machinery and reduce the cost of providing the 'tax-free oil' to farmers. However, it is projected that the burden of paying the acquisition and registration tax will be very high.
Introducing a driver license system for the use of farm vehicles is expected to reduce accidents, but it is feared that farming will run into problems and the resulting loss will be enormous when it becomes impossible to obtain the license. Moreover, the possibility that a farmer will be degraded into a law breaker becomes high if an accident occurs while they drive a farm vehicle without a driver's license.
Compulsory insurance of farm vehicles has the benefit of protecting a farmer from the economic breakdown resulting from an unforeseen accident. However, the burden on the farmer is costly and there is also the problem that the government has to secure the support fund every year.
Since the adoption of a farm machinery management system has many problems in addition to benefits, it is necessary to meet the following conditions to achieve the goal of building an advanced farm machinery management system: first, provision of enough time to inform farmers of the system improvement; second, efforts by interested parties to reach an agreement so that they can share an understanding; third, a close review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both domestic and foreign); and fourth, guarantee of continued government support and budget.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ut off the idea of immediately introducing an agricultural machinery management system. Moreover, rational judgment by the authorities is needed to implement the system gradually in a more realistic way after the above conditions are met.
Researchers: Ki-Hwan Park, Eun-Mi Jeong, and Hoe-Min, Kwon
Research period: 2011. 4. -2011. 7.
E-mail address: kihwa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0615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농어촌의 자원을 말한다 : 2011 제2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 이전글
- 경상북도 제3차 친환경농업육성 5개년 계획 수립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