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보조금 개편 방안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업보조금의 문제
제3장 주요국 농업보조금 정책과 시사점
제4장 농업보조금 개편 방안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업보조금은 농업생산기반 조성, 기술개발 투자, 농업경쟁력 제고 등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보조금 지원을 통해 농업경영체의 수익성이 제고되고, 대외 경쟁력을 향상시키며, 소비자의 후생을 증대시키는 등 긍정적 효과를 유발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보조금 지원에 따른 농가의 정부 의존적 영농, 구조조정의 지연, 일부 농산물의 생산과잉 초래 등 자원배분의 비효율성과 당초 목표 대비 성과의 부족과 같은 문제점도 있다.
이 연구는 농업보조금과 관련한 쟁점을 정리하고, 보조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농업보조금의 일반적 개념과 WTO의 농업보조금 분류 내역을 정리하고, WTO 규정에 따른 국내보조금 운용 현황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농업보조금 현황과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개편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농업예산 규모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넷째, 농업보조금 개편의 주요 쟁점으로 농업부문 직접지불제, 개별보조사업 그리고 보조금 집행 관리 체계의 개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how to improv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government subsidy programs for agricultural sector. More specifically, it is designed to address followings: First, general definition of agricultural support and the classified catalogue of WTO domestic support are reviewed.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agricultural support is examined and a direction of its reform is proposed. Third, an appropriate size of agricultural support is considered. Finally, it suggests ways to revamp direct payments, individual subsidy programs, and the management system of implementing agricultural support, which are major issues in the agricultrual support reform.
Agricultural subsidies have brought about a set of positive effects on competitiveness, SOC, R&D, and restructuring in the sector, even though too many subsidy programs, each having different goal and target and inefficiency of their implementation have been pinpointed as shortcomings.
However, agricultural subsidies have also produced some adverse effects on the sector. First, they have spurred dependence on government aids and weaken farmers' ability to stand on their own. Second, problems associated with direct payment are pointed out, including its concentration on rice and paddy field, overproduction of rice, a lack of incentive for upland field corps which are in short of production. Third, the projects as FTA countermeasures have so high portion of support, 74.4% that much concern is being voiced about deepening dependence on government and excess demand for the pojects. Fourth, there exist inefficient factors in the management system of budget and fund. Finally, government-oriented fiscal funds would stand in the way of private investment in agricul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forms of direct payments, individual subsidy programs, and their implementing system. The principle of the reforms is based on the consensus from the 'Committee of Advanced Agriculture and Fishery(2009.07)'. Each subsidy program is reconsidered to determine whether it should be abolished, be integrated with other program, be changed to loan program, or be adjusted with lower share of support, and so on.
In this stage, the reform of agricultural direct payments would be conducted focusing on the modification of rice direct payment. In order to mitigate overproduction of rice, the variable payment needs to be coupled with production costs. The newly discussed public-service direct payment is not widely shared opinions yet and would be difficult in securing enough fund for implementation. However, in the near future when further opening of domestic agriculture starts to lower profitability of upland crops, a com- prehensive reform of agricultural direct payments will be required.
Researchers: Seong-jae Park, Joon-kee Park, Ju-ho Song,
Gwang-seok Chae, Han-pil Moon
Research period: 2010. 12. - 2011. 1.
E-mail address: seongjae@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2657
-
좋아요0
-
다운로드117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천안시 식품산업 중장기 발전계획
- 이전글
-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지원 실효성 확보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