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지원 실효성 확보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의의와 관련 정책
제3장 농·공·상 융합형 기업 사례
제4장 일본의 농상공 연대와 농산어촌 6차산업화 제도 분석
제5장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체계
제6장 농어업과 중소기업의 협력촉진을 위한 법제방안
요약문
이 연구는 2010년 7월 ‘제65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농어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육성전략을 발표하면서 농림수산식품부와 중소기업청이 협력하고, 농공상이 협력하는 중소기업이나 경영체에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함에 따라 수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제도의 마련은 매우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농공상 융합의 의미,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의 개념, 농공상 융합 관련 정책들을 고찰함으로써 새로운 농공상 융합의 방향을 모색하고,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정책의 새로운 추진체계를 제시하였다.
일본은 농림수산성과 경제산업성이 협력하여 “농·상·공연대”를 2008년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또한 농림수산성이 2010년 12월에 일명 “농산어촌 6차산업화”라 불리는 법을 통과시키면서 농·상·공연대와 함께 6차산업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시도에서 우리가 주목할 점은 농산어촌의 활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부처 간 협력과 지역의 농·상·공이 협력하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상호 협력이 잘 되도록 ‘촉진자 혹은 매개체’를 육성하는 데도 정책적 배려를 하고 있음을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Although the rural areas in Korea are deteriorating as a consequence of aging population and weakening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e industry, a fresh necessity of development achievable by interconnecting resources in farming and fishing areas has been raised by technologies that drive growth into high-valued industries and by rediscoveries of values, and more using the local resources.
Notwithstanding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joint convergent businesses between farming and fishing businesses and SME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recent years, the legal foundations that support such efforts are scarce. The fact that the support from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s focused on farmers and agricultural businesses, while the support from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is centered on general manufacturing businesses has created blind spots neglecting convergence-type S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legal grounds that induce the expansion of convergent businesses while supporting cooperations between farming and fishing industries and SMEs, along with preparing for organic partnership plans by analyzing the related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order to execute the promotion strategies for SMEs converged with agriculture, industry, and commerce.
A convergence-type SME refers to a company that generates high-added value by convergence of raw materials--farming and fishing products--into technologies covering foods, processing, IT, BT, NT, CT, etc. in direct collaborations between agricultural and fishery business people and the owners of SMEs.
The composition of this report is as follows: Chapter 2 explains the magnitude of SMEs converged with agriculture, industry, and commerce as well as the related policies; Chapter 3 introduces the cases of convergence throughout agriculture, industry, and commerce; Chapter 4 analyzes the partnerships between agriculture, industry, and commerce in Japan as well as the 6th industrial laws; Chapter 6 proposes a legislation plan for promoting cooperations between farming and fishing industries and SMEs.
In particular, with a review of the partnerships between agriculture, industry, and commerce in Japan and of some support methods and cases, the feasibility of their applications in Korea and of cooperations between the agencies in the central government was analyzed.
For determining the basic direction of supporting the growth of SMEs converged with agriculture, industry, and commerce, a step-by-step approach that extends the range of support across convergence activities of agriculture, industry, and commerce in the future is necessary after starting from supporting management bodies (companies) using the complimentary measures provided by related laws.
Researchers: Yong-Lyoul Kim and Joo-Nyung Heo
Research period: 2010. 11. ~ 2011. 1.
E-mail address: kimyl@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7316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보조금 개편 방안 연구
- 이전글
- 유기가공식품의 소비실태분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