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지역개발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기업의 발전방향과 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촌 사회적기업의 실태와 기존 논의
제3장 농촌지역개발을 위한 사회적기업의 역할
제4장 해외 사회적기업 관련 정책과 농촌 활성화 사례
제5장 사회적 경제 구축과 사회적기업을 통한 농촌 활성화 국내 사례
제6장 농촌지역개발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 과제
요약문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경제를 구축하려는 지역의 자발적 노력을 촉진하고 농촌지역개발에 기여하는 농촌 사회적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 주도의 사회적 경제 주체를 적극 발굴하여 육성해야 한다. 둘째, 기존 인증제도를 개선하여 농촌 현실에 적합한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는 농촌형 사회적기업을 육성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기업의 기존 활동영역 외에도 로컬푸드, 환경·산림·경관 보전, 도농 교류 등 향후 농촌 사회적기업의 활동영역을 확대하고 이들 분야에서 사업모델을 발굴·보급해야 한다. 넷째, 효율성보다는 효과성을 중시하는 보호된 시장을 보장해야 한다. 다섯째, 업종에 따른 차별화된 사회적기업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Recently, developing social enterprises is considered as the third way to vitalize depressed rural areas instead of government policy and market mechanism. But we have just a few ideas of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potential roles of rural social enterprises. It is the very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their condition and roles in rural development, and suggest policy strategies to foster rural social enterprises.
We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rural social enterprises to review their real condition, and analyzed their roles in endogenous rural developmen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We also performed in-depth case studies of Hoengseong-gun(Gangwon-do) and Jinan-gun (Jeollabuk-do) to look into the realities of social economies of rural areas and the roles of individual social enterprises in rural vitalization.
With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case studies, we found out that rural social enterprises are very conducive to endogenous rural development by local embeddedness of their input-output linkages, socio-economic networks, labor input, etc. Yet, some problems to be solved are also discovered. For instance, rural social enterprises lack outward linkages for accessing to more specialized resources such as finance, information, experts, and so forth.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suggested some policy strategies to foster rural social enterprises as follows.
Firstly, a variety of agents acting in rural social economies should be discovered and fostered as social enterprises.
Secondly, the existing government certification system of social enterprises should be amended so that various voluntary and organizational efforts to improve difficult situations of rural areas can be appreciated as social enterprises.
Thirdly, business models for social enterprises suited to rural areas should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Fourthly, rural social enterprises should be offered protected markets in terms of not efficiency but effectiveness on rural vitalization and job creation.
Lastly, government supports should be offered to rural social enterprises on the basis of differences of their business fields.
Researchers: Kwang-Sun Kim, In-Hey Kwon and Chang-Ho Kim
Research Period: 2010.1~2010.10
E-mail Address: yesks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1838
-
좋아요0
-
다운로드66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방안
- 이전글
- 농업부문의 청정에너지 이용실태와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