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축산물 수출시장 확대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우리나라 축산물 수출현황
제3장 축산물 수출 제약요인 분석
제4장 축산물시장 분석과 향후 전망
제5장 축산물 수출 확대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우리나라의 축산물 수출이 저조한 원인은 가축 질병 발생에 따른 교역국과의 수출 중단과 축산물 생산비가 높아 수출 경쟁력이 취약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농업관련 기관 등 다양한 단체들이 농가와 기업들의 축산물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출 대상 국가별 특성을 고려한 축산물 수출 증대와 수출 유망 품목을 발굴, 수출전략을 제시하는 등 종합적인 수출시장 확대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아울러 축산물 중 돼지고기, 닭고기, 육류 가공품, 유제품 등의 수출활성화와 수출시장 확대방안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그 가운데 돼지고기의 수출활성화를 위해서는 질병 청정화, 가격과 품질경쟁력 확보, 해외시장 조사와 정보획득 강화, 철저한 수출검역체계 구축 등 정부지원 강화와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weak export performance of meat products is mainly due to animal diseases outbreak and low price competitiveness. Animal diseases such as FMD and HPAI prohibit domestic livestock industry from exporting meat products. High production costs impose a severe strain on price- competitivenes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export related organizations are trying to resolve low export-competitivenes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upporting the effort. To do so, this research reviews current main export markets of pork, poultry, and milk products and discovers future promising foreign markets.
This research, in pork export market, identifies that disease eradication, increase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attaining more foreign market information, and intensive export quarantine and permit are necessary to increase foreign market pork products export. To increase poultry product export, this research suggests increasing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eradicating animal diseases, higher hygiene standards, attaining foreign consumers’ preferences, and government’s effort of strict product monitoring. In case of milk products, the current outbreak of FMD and china’s import-prohibition provides a clue of how to handle difficulties. The government and private enterprises have to gather and discuss how to maximize possible outcomes (or minimize damages) when they face importing country’s market prohibition activities.
Researchers: Byung-Joon Woo, Kim Hyunjoong
E-mail address: bjwoo@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7482
-
좋아요0
-
다운로드72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전통주 수출시장 확대 방안
- 이전글
- 채소 및 화훼류 수출시장 확대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