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과실·특작류 수출시장 확대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수출 동향 및 여건
제3장 수출 제약요인
제4장 수출농산물 공급여건 분석
제5장 수출시장 분석
제6장 수출시장 소비자 분석
제7장 뉴질랜드 수출전문조직 운영 유형 분석
제8장 수출시장 확대방안
요약문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수입이 더욱 빠른 증가세를 보여 무역수지 적자 폭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국제 신용위기 발생 직전인 2008년에는 무역수지 적자가 사상 최고인 188억 달러에 달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은 수출시장을 목표로 생산단계에서부터 고품질 농산물을 재배하는 전문 농가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아시아와 아프리카, 남미 등 개발도상국의 수출 확대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식품 수출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함은 물론, 농가 소득 향상과 국내 농산물 가격 안정, 그리고 국산 농산물의 품질 향상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해외 수출시장 확대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수출시장별 특성을 고려하여 주력 농식품 수출 증대와 함께 수출 유망품목 발굴 등 종합적인 수출시장 확대 방안을 모색하고, 수출 시장 분석과 소비 조사결과 등을 토대로 보다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세부 품목별 수출시장 확대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This research is about increasing Korean agro-food products export to foreign market. This is the first year draft from 2 year research project.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pport export policy of domestic agro-food products. To meet the end, the study mainly focuses on general export polici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Previous agro-food export studies usually deal with a specific food item or country while this research addresses multiple items and countries. Especially, the first year draft deals with main export items and markets.
This report describes a current condition of agro-food export market, and points out its important characteristics and inherent problems. Also analyzes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agro-food products in two important export markets. In this research, foreign consumers’ preferences toward domestic fruits, ginsengs&mushrooms are surveyed. The survey results are utilized to derive necessary policies and its future directions to increase export markets.
This research categorizes agro-food export system into six different stages and suggests policy recommendations to increase export to foreign markets on each stage. Firstly, in the production stage,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ufficient quantities and proper qualities. Not enough room for price negotiation is also a problem. To solve the problems, organizing farm to scale and government’s expenditure on R&D investment is necessary. In the commercializing stage, poor conditioned facilities and inadequate adoption of buyers’ requirements cause problems. These can be solved by providing new facilities to improve products' qualities with fostering export-specialized farms.
In the export logistics stage, a lack of cold-chain system and an inefficient logistics system cause decreasing quality and increasing managerial cost problems. Also governmental export logistic subsidies cause an unnecessary side effect. Providing a proper logistic system with a new subsidy scheme is strongly recommended to enhance efficiency. In the quarantine and customs clearance stage, the government has to make a mutual agreement with the importing country to alleviate an existing strict quarantine system.
In the stage of distribution in the importing countries, excessive price competitions between exporting companies cause several drawbacks such as damaging the image and price war. The government has to monitor exporting companies effectively to secure an existing market with proper policies. Finally, foreign consumers’ lack of brand awareness has to be changed. Currently, the main target customer of exporting agro-food products is overseas Korean. Supports on participating overseas food exhibitions and brand promotions, and entering local large-scale retailers are strongly recommended.
Researchers: Kyung-Phil Kim, Ho-seok Han
E-mail: kkphil@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6837
-
좋아요0
-
다운로드36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채소 및 화훼류 수출시장 확대 방안
- 이전글
- 농어촌 지역 자족기반 실태와 확충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