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한국농수산대학 학과 신규개설 타당성 조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한국농수산대학의 역사와 현황
제3장 농수산계 교육기관 실태
제4장 한국농수산대학 학과 신규개설 요구
제5장 한국농수산대학 학과 신규개설 타당성 분석
제6장 신규학과 개설 및 향후 대응방안
요약문
1990년대 중반 WTO체제 출범으로 농수산물시장 개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장차 우리나라 농어업을 담당할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라 한국농업전문학교가 설립되었다. 올해 11번째 졸업생을 배출하여 2천여 명의 전문농업경영인이 전국에서 활약하고 있다.
한·미, 한·EU FTA 체결 등 세계화는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농어업인의 고령화는 심화되고 있어 정예 농어업 전문인력의 양성이 더욱 시급한 실정이다. 더욱이 2008년 농림부가 농림수산식품부로 개편되어 농정 영역이 어업 및 식품산업까지 확대되면서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기존의 농수산계 고교, 전문대 및 대학이 농어업 인력양성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한국농수산대학에 대한 기대와 요구는 점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요구되고 있는 임업, 어업, 말산업 및 양조전통식품 분야의 관련 학과 개설 타당성을 검토하고 학과 개설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앞으로 사회 각계로부터 전문인력 양성 요구는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한국농수산대학이 금후 다양하게 제기될 신규 학과 개설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정예 농어업 전문인력을 차질없이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lidity of new educational department establishment in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KNCAF).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literature review, interview, survey, scenario analysis and expert panel.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s related to the history and statistics of KNCAF; current status of agriculture & fishery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including secondary vocational high schools, vocational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previous studies on KNCAF revision. This study interviewed KNCAF alumni farmers, field agricultural agencies, and agricultureal education experts to investigate the needs for education of KNCAF, and carried out a survey of all KNCAF faculties Scenario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newly needed departments' future scenarios in terms of workforce needs, students supply, related policy supports, and the competitiveness of KNCAF, and to judge validation on establishment of departments needed. This study also received lots of viewpoints and alternative measures for the study from expert panel.
A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basic orientation of department operation; the establishment plan of new department including forestry, coastal fishing, horse industry, and traditional liquors; and mid- and long-term plans to operate a new educational scheme. For the sustainable role playing in agriculture and fishery sector, KNCAF should become more flexible and agile for various needs from outside, and should keep KNCAF's identity which was set at the inception of the foundation.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the forestry department and the coastal fishing department, and the expansion of new subjects related to horse industry and traditional liquors. Mid-and long-term plans included change from the department system to the division system; modification of current discipline- based subject to competency-based module; shift from the semester system to the quarter system; and the install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to assist those new educational scheme systematically.
Researchers: Choi Kyeong-Hwan, Ma Sang-Jin, Kim Kangho
Research period: 2010. 8. - 2010. 12.
E-mail address: kyeong@krei.re.kr, msj@krei.re.kr, kimkh7@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3516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어촌 서비스기준 운용방안 및 농어촌 통계기반 구축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 이전글
- 제주지하수가 지역경제 및 산업에 기여하는 경제적 가치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