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지역개발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지역경제모형(KREI-REMO) 구축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지역경제모형 관련 이론 및 선행 사례
제3장 KREI-REMO의 구축
제4장 모형의 유용성과 발전 방안
요약문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시·군 지자체의 의사결정 기회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포괄보조금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지자체의 예산편성 권한도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는 아직까지도 주먹구구식의 분석 결과나 정성적인 판단에 기초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 연구는 시·군 단위의 지역개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경제모형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모형과 관련한 이론과 선행 모형 구축 사례를 통해 우리 실정에 적합한 모형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우리나라 시·군을 ‘도시형’, ‘도농연계형’, ‘농산어촌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로 계량경제모형을 추정하였다. 구축된 KREI-REMO 모형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통계적인 검증 작업과 함께 일부 지역에 대한 베이스라인 분석과 정책 모의실험 등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구축된 KREI-REMO는 지역경제의 거시지표 전망, 정책 시뮬레이션 수행, 지역개발 전략 선택 등 시·군 단위 의사결정 과정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local self-governments' authority have been expanded, they have needed policy simulation model on rational decision-making to achieve their goals.
To match local self-governments's rational decis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regional economic model for support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local self-governments.
In order to build the regional economic model, we first divided local district into 3 sectors, namely urban, urban-rural, and rural district. Each sectors are classified by population, employment, industrial production and local government finance, and each parts are estimated by single behavior equations with panel analysis.
To reduce the prediction errors and secure realistic forecasting, KREI regional economic model(KREI-REMO)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as Dynamic Panel analysis, and also is made up with MS-Excel for easy operation. by so doing, KREI-REMO can perform economic and policy simulation under various conditions.
However, this KREI-REMO is the first stage project as a part of local self-governments' decision-making supporting system. For the sake of continued and wide utilization of this model, it is necessary to update model structure, policy simulation tools, and correct parameter's estimation methods continuously.
Researchers: Si-Hyun Park, Suk-Ho Han, Jeong-Min Lee, In-Hye Kwon
Research Period: 2010. 1 ~ 2010. 10.
E-mail Address: shpark@krei.re.kr, shohan@krei.re.kr, fantom99@krei.re.kr, kinhye@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4624
-
좋아요0
-
다운로드12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축산계열화의 평가와 발전 방안
- 이전글
- 지방농정 거버넌스 선진화 전략과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