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남북한 농림업부문 녹색성장을 위한 협력 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림업부문 녹색성장 정책의 방향
제3장 기후변화가 남북한 농림업에 미치는 영향
제4장 녹색성장 관련 국제협력 동향
제5장 녹색성장과 남북협력의 연계 가능성
제6장 농림업부문 남북협력 추진전략
요약문
녹색성장은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개념이다. 녹색성장은 이명박 정부가 추구하는 핵심적인 정책의 하나로 모든 분야에 걸쳐 추진되고 있다. 대북정책에 있어서는 녹색 한반도를 실현하기 위한 상생과 협력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추진되었다. 지금까지의 대북정책이 일방적인 지원에 중점을 두었다면 앞으로는 남북한이 상생하기 위한 협력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남북한이 협력을 하되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한반도의 환경을 지키면서 성장을 추구한다면 서로 상생하는 협력이 될 것이다. 농림업은 기본적으로 환경을 지키는 녹색부문이지만 좀 더 효과적으로 녹색성장 전략을 추진한다면 환경부담을 최소화시키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남북한 사이에 합의되었거나 협의된 농림업부문 협력방안을 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가치에 맞추어 전략을 세우고 사업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녹색 한반도를 실현코자 하는 정부의 대북정책을 뒷받침하는 데 일차적인 목표를 두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ossibilities of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r green growth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alyze the effects of cooperation, and suggest policy directions toward North Korea and strategies for green growth. The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South Korea'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and green growth by detailing the measures that can combine green growth with South Korea'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for coexistence and mutual prosperity.
Green growth is a concept that seeks to attain the two values of 'green' and 'growth.' As a concept that encompasses not only economic development but also soci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green growth's ultimate goal lie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y combining these elements in a non-confrontational, "win-win" way. The government legislated the Basic Law on Low-Carbon Green Growth on January 13, 2010, and enforced it on April 14, 2010.
The ways through which South and North Korea can approach future cooperation projects for green growth in agricultural and forestry sectors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wo methods: reducing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and adapting to climate change. Some of the cooperation projects that fit the reduction approach are projects that turn livestock waste into agricultural resources, preventing flood damage in the Imjin River basin, reducing tens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peaceful use of the DMZ, building model green growth zone, improving natural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forestation and prevention of deforestation, and monitoring, preventing, and controling diseases and harmful insects through exchanges of agricultural climate data. As for adapting to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promote joint research and human exchanges in preparation of the shifting in cultivation areas to North Korea, exchange agricultural and forestry experts, and foster human resources to increase the capacity for green growth.
To connect South Korea's green growth strategy with South and North Korean coopera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green growth related projects prior to among the projects that have been agreed on and lay down a foundation for green growth on the Korean Peninsula by improving the projects. Furthermore,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eded to carry out green growth projects through South and North Korean cooperation. South Korea's policies on North Korea should be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green growth by setting up a South-North Korean cooperation team in the 'Green Growth Committee' and a green growth team in the Unification Ministry. Other measures that can increase the green growth potential of North Korea should also be studied, including denuclearization, South-North Korean cooperation, improvement of North Korea's domestic environment for economic growth, and the five big assistance commitments. Expanding the green growth projects by using the South-North Cooperation Fund should also be studied.
The priorities or contents of the projects that have been agreed on should be adjusted, first, to fit the purpose of green growth, rather than carrying out green-growth agricultural projects independently from the projects already discussed. Since green growth should reflect both the environment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green growth projects should be categorized into several programs according to project characteristics and prepare each program to seek green growth on its own.
It is important that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the private sector divide up roles and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Since a lot of financial resources are needed to carry out cooperative development while promoting green growth, it is essential that the government participates. However, since the government cannot be in charge of all matters relating to green growth, it has to consult policies with local governments or the private sector. The monitoring function to improve efficiency and transparency during policy consultation and project implement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s well. To achieve green growth, the role of private companies is important than any other matters.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ways to build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based on this understanding.
Researchers: Tae-Jin Kwon, Young-Hoon Kim and Min-Jee Nam
E-mail address: kwontj@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1760
-
좋아요0
-
다운로드31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산물 산지유통시설의 효율적 활용 방안
- 이전글
- 농업부문 에너지 수급전망과 청정에너지 농업시스템 구축(1/2차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