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농협중앙회 사업구조개선 및 일선조합과 연계방안 연구

2009.12.01 42630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수탁보고서(C2009-62)
  • 저자
    황의식, 박성재; 박준기; 정호근; 김미복; 채광석; 김광수
  • 등록일
    2009.12.01
  • 연구주제
    농업생산유통.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협중앙회 사업구조개편의 필요성과 추진방안
제3장 선진국 농협의 사업구조 시사점
제4장 농협 경제사업 활성화 방안 및 투자방향
제5장 농협중앙회 신용사업 활성화 방안
제6장 상호금융 활성화 방안
제7장 교육지원사업 효율화 방안
제8장 일선조합과의 연계 제고방안
제9장 사업구조 개편에 따른 세제지원방안
제10장 사업구조 개편에 따른 기대효과
참고 문헌

요약문

It has been widely required that NACF should be reform the business organization focusing on separate banking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complish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 marketing & supply sector and the banking & insurance sector under the rapidly changed circumstances including recent financial crisis. This study suggests the most efficient scenario of reformation and explains the detailed strategies to connect with primary cooperatives.
After highlighting reasons of reforming NACF and its proposed plan, several examples from developed countries are presented such as the Greenery from Netherland, Credit Agricole from France, and JA from Japan. Especially, the Nonrinchukin Bank in Japan is referred to find an efficient strategy for corporate banking in NACF.
In chapter 4-7, we discuss detailed plans to revitalize the business for each sector. Despite that the marketing & supply sector is the most important and original part in NACF, the banking sector has been replaced it. To assure a role of marketing & supply sector, the specialization of business organization should be elevated including livestock division.

저자정보
황의식Hwang, Euisik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황의식Hwang, Euisik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42630
  • 다운로드
    0
다음글
기초생활권 유형별 발전전략과 정책과제
이전글
중국 동북3성의 중·단립종 쌀산업 구조변화와 생산계열화 실태 조사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