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중국 동북3성의 중·단립종 쌀산업 구조변화와 생산계열화 실태 조사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중국의 쌀산업 현황 및 정책 변화
제3장 동북3성의 농업현황과 쌀산업 구조
제4장 중·단립종 쌀 수급 전망 및 수출잠재력 분석
제5장 동북3성의 쌀산업 생산계열화 실태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요약문
우리나라는 2014년 이후 쌀시장의 관세화 전환을 앞두고 있다. 쌀시장이 관세화로 전환된 이후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중국 동북3성의 중·단립종 쌀은 국내 쌀산업에 잠재적 위협요인이다. 관세화를 유예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도 동북3성 중·단립종 쌀은 이미 MMA 수입쌀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동북3성은 중국 최대의 중·단립종 쌀 생산지역이자 수출지역이다. 동북3성에서 생산된 중?단립종 쌀은 상품화율이 매우 높아 중국 남부지역 소비지로 유통되거나 한국, 일본 등지로 수출되고 있다. 중국 소비자의 소득증가로 소득탄력성이 큰 중·단립종 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수익성이 높아 동북3성의 중·단립종 쌀 생산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친환경농업에 유리한 자연환경을 활용하여 고품질의 친환경 쌀 생산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은 영세소농구조의 한계를 극복하고 경쟁력 제고, 품질 향상 및 농가소득 증대를 동시에 추구하는 대안으로 생산계열화를 핵심으로 하는 ‘농업산업화’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동북3성의 중·단립종 쌀산업도 ‘농식품기업+생산단지+농가’, ‘농식품기업+농가’ 유형을 주축으로 한 생산계열화를 통해 품질 향상과 경쟁력 제고에 주력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 쌀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동북3성 중·단립종 쌀산업의 변화 동향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관찰하는 것은 우리의 대응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보고서에서는 중국 동북3성 중·단립종 쌀산업의 최근 구조변화 동향과 생산계열화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우리의 쌀산업 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Korea is slated to introduce tariffication on imported rice in 2014. As this is the case, the price-competitive short- and medium-grain rice of Northeast China has become a potential risk factor.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recent structural transition and production integration of the Japonica rice industry in Northeast China and present policy implication for the Korean rice market.
Northeast China is China's largest base for the production and export of short- and medium-grain Japonica rice. Since the commercialization rate of Japonica rice in Northeast China is extremely high, it is sold to consumers in southern regions of China or exported to Korea, Japan and others. The demand for the highly income-elastic Japonica rice is on a rise due to the rise of income of Chinese consumers, and the production concentration of Japonica rice in Northeast China is getting intense owing to high profitability. Also, Northeast China is showing strength in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rice by utilizing its natural environment favorable to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China is aggressively pushing ahead with an agricultural industrialization policy that focuses on production integration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poor small farms and raise the quality of rice and their income at the same time.
Northeast China is determined to push ahead with the industrialization policy by focusing on improvement of quality and competitiveness through production integration centering around the ‘enterprises+production base+farm household' model or the ‘enterprises+farm household' model.
The policy implications we could draw from analyzing the structural shift and production integration of Northeast China's rice industry are as follows:
First, Northeast China's rice industry is exerting a growing influence on the Korean market. In order to make a timely forecast and cope with this, it is necessary to build a monitoring system that can collect and analyze various related data.
Second, it is necessary to push ahead with a plan to achieve production integration by promoting and supporting various entities involved in the industry-reshaping process. In Korea where food is gaining more importance with respect to government polic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inese model of production integration led by agrifood enterprises.
Third, it is necessary to set up a rice supply plan and prepare appropriate measures to manage imported rice under the premise that part of the domestic need for rice will be covered by imported rice over the mid-to-long term. In addition, measures to ensure the safety of imported rice should be prepared.
Fourth, Northeast China is actively pushing ahead with a plan to integrate the production of eco-friendly, high-quality rice by utilizing the production conditions suitable for eco-friendly agricultur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capacity to cope with the challenges of Northeast China's rice by expanding the project to integrate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rice by rice processing centers (RPCs).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4513
-
좋아요0
-
다운로드21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협중앙회 사업구조개선 및 일선조합과 연계방안 연구
- 이전글
- 글로벌 개방경제하의 「국가식품시스템」전략: 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 연구 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