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벼 재배면적 조사 시범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위성영상의 활용 현황
제3장 위성영상을 활용한 재배면적 조사방법
제4장 재배면적 분류결과 및 정확도 검증
제5장 향후 추진 방향
제6장 요약 및 결론
부록 1: 현장조사 대장 샘플
부록 2: KOMSAT-2 위성
참고문헌
요약문
미국, 유럽 등 선진국들은 1970년대부터 원격탐사 기술을 주요 농산물의 재배면적과 작황을 산출하는데 활용해 왔다. 국내에서도 2006년에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 2호(Kompsat-2)가 발사되어 고해상도 위성영상 자료가 보다 저렴한 가격에 공급되게 되어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위성영상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보고서는 선진국과 수산업 분야에 비해 실제적인 원격탐사 기술 도입이 이루어지지 못한 농업관측 분야에 원격탐사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시범 연구를 수행한 결과이다.
농업관측 업무에 원격탐사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그동안 선행 연구를 통해 비교적 원격탐사 기술 적용이 용이한 것으로 파악된 벼 재배지역에 대해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벼 재배면적을 산출하였다. 이를 위해 벼 재배면적이 비교적 넓은 당진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정하고, 무상 또는 저렴한 가격에 자료 확보가 가능한 아리랑 2호 위성영상을 사용하여 시범 연구를 추진하였다.
위성영상분류는 크게 객체의 분할(Segmentation)과 분할된 객체를 기준으로 객체기반분류(Object based Classification), 그리고 정확도 검수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고, 육안판독의 정확도와 현장검증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육안판독을 통해 정확를 검증해본 결과 실제로 현장검증을 통한 정확도와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논에 대한 분류 정확도는 평균 90.8%로 나타났다. 이 연구가 전문가 육안판독을 하지 않고, 현장조사를 통한 보정작업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의 분류 정확도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전문가 육안판독과 더불어 현장조사를 통한 보정작업이 병행될 때 정확도는 95∼98% 이상 제고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타당성 검토 등의 연구 수준을 넘어 실질적으로 원격탐사 기술을 농업관측에 활용함으로써 원격탐사를 이용한 벼 재배면적 조사에서의 농업관측 업무의 가능성은 입증되었다. 그러나, 고해상도 위성영상만을 활용하여 관측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영상 수급의 문제 및 고가의 처리비용 등으로 사전관측 및 예측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향후에는 영상처리비용이 적고, Scene 당 활용 면적이 넓어 영상 수급이 비교적 용이한 중해상도 영상의 도입이 검토 되어야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pilot study on using satellite images to forecast agricultural outlook. Many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have been using satellite images to produce agricultural statistics and outlook analysis. In Korea, some institutions such a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Maritime Institute use satellite images for their works.
In this paper, we estimated rice acreage by using satellite images. Rice was chosen because the acreage of the crop can easily be identified by using remote sensing technology. Dangjin, a rural county with a large rice acreage, was chosen as the sample region. Kompsat-2 satellite images were used since they were inexpensive to obtain.
The method used to classify satellite images is based on three key concepts: segmentation, object-based classification, and accuracy verification. We compared the accuracy of analyzing satellite images with the accuracy of on-site inspections. We found that the accuracy of analyzing satellite images was not different from the accuracy of on-site inspections. The accuracy of identifying rice paddy fields was very high at 90.8% on average.
This study showed that remote sensing technology can actually be used to estimate rice acreage and forecast agricultural outlook.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use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because they are not readily available, and thus expensive to proces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using medium-resolution satellite images.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6650
-
좋아요0
-
다운로드54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중기선행관측 기본모형 개발연구
- 이전글
- 2011 금산세계인삼엑스포 기본구상 및 타당성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