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쇠고기 산업의 구조와 발전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쇠고기 산업의 여건 변화와 현황
제3장 쇠고기 산업 참여주체의 시장행태 분석
제4장 쇠고기 산업의 시장구조 변화 분석
제5장 쇠고기 산업의 발전 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부록
참고 문헌
요약문
UR 협상 이후 축산물 시장의 개방과 경제·인구·사회적 특성의 변화에 의해 쇠고기 소비와 유통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는 과거와 달리 양보다는 품질과 안전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생산자는 쇠고기의 품질고급화와 가격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2008년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수입위생조건 개정을 전후해 국내 산지 소 값과 쇠고기 소비에 큰 변화가 있었으며, 그 변화의 파장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새로운 정책 및 제도 도입과 쇠고기 시장의 구조적인 변화가 일정 부분 작용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국내산 쇠고기의 경쟁력을 높이고 장기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쇠고기 시장의 대내외 여건 변화와 이에 대응하는 시장참여주체의 다양한 반응을 관찰해야 한다.
이 연구보고서에서는 기존의 생산단계 중심의 시각에서 벗어나 쇠고기 시장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시장 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산업의 경쟁력 확보 방안과 미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산 쇠고기 시계열 자료의 분석과 생산자인 브랜드경영체 및 소비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쇠고기 산업의 구조를 분석했다. 이러한 쇠고기 산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쇠고기의 생산, 유통, 소비단계별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competitiveness in the Korean beef industry and a future development strategy which can respond to recent changes. To do so, this study analyzes and focuses on the structure of the Korean beef market instead of taking up the conventional production-oriented approach.
In the process, this study seeks to find ways of enhancing social welfare by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specific principles and behaviors of the beef market. This study defines the development of domestic beef industry as an increase in social welfare or a reduction of social welfare losses caused by imperfect competition. This study categorizes the beef industry in three important stages of production, retail, and consumption.
In the production stage, providing high quality meat and securing stable beef supply are key factors to success. Management of good breeding cows and beef catt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cceeding. To strengthen such activities,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Korean beef sales outlet" project. However, approximately 200 Korean beef (Hanwoo) brands are already on the market after being raised at regional breeding and fattening farms. Thus, focusing on the already exiting beef brands to expand market power will be a more realistic approach.
The beef market is reckoned as an incomplete market. As such, reducing the distributors’ margin could reduce the net social welfare loss. To accomplish this, the nature of the beef market must be changed to a fully competitive market.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brand shops and restaurants is expect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addition, introducing a large livestock processing and distribution company can result in the reduction of the retail margin as it handles all the beef logistics process from slaughter to processing, packaging, and distribution.
According to surveys, consumers as yet do not fully trust the safety of U.S. beef. However, consumers’ preference can easily be changed in any time. This change in consumer preference will reduce Hanwoo consumption. To avoid such situation, taste, hygiene, and quality of domestic beef must be superior to imported beef.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9921
-
좋아요0
-
다운로드38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임산물과 식품산업의 연계 강화 방안: 단기소득임산물 중심으로
- 이전글
- 농업부문 지방공기업의 발전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