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북한 농업·농촌 실태와 대북 농업지원 방향 연구 - 협동농장을 중심으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북한의 농업관리체계와 농촌조직
제3장 북한의 협동농장
제4장 식량난 이후 북한 농업·농촌의 변화
제5장 대북 농업협력 방향
제6장 요약 및 결론
부록
참고 문헌
요약문
북한의 농촌은 대부분 협동농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농산물의 80% 이상을 협동농장이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협동농장의 조직과 관리, 조달과 수매를 통한 외부와의 연계, 그리고 농장 구성원들의 생활 실태를 알 수 있다면 북한의 농업과 농촌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대북 농업협력의 효과적인 수행과 남북통일 이후에 대한 준비는 북한의 농업과 농촌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 토대를 두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북한의 협동농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문헌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북한의 문헌에 나타나 있는 협동농장은 최근의 실제 모습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 협동농장은 문헌상의 그것과 크게 달라진 상태이다.
이 연구보고서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주로 활용하였던 문헌을 통한 연구는 북한의 농촌실태를 고찰하는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적극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농업에 종사하던 북한 이탈주민과 대북 농업협력사업을 추진하는 민간단체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문헌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대북 농업협력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실효성 있는 대북 농업협력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데 부수적 목적이 있다.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r two purposes. The main purpose is to grasp the actual circumstances of North Korean agriculture and rural society through cooperative farms. The ancillary purpose is to suggest appropriate agricultural cooperation projects in accordance with North Korea policy.
We divided the main contents into four parts. The first part shows general features of North Korea's farm management system and structure of cooperative farms. A cooperative farm is a basic organization produc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forms the basis of rural life. This part consists of the process of land reform and agricultural collectivization, farm management system, and the structure of cooperative farms, state farms, and general farms.
The second part deals with the features of cooperative farms that appear in a formal system. The main contents are the organization of the cooperative farm management committee, farm management system, production organization, the actual conditions of work groups and sub-work groups in cooperative farms. The main information contains the procurement of agricultural inputs, annual agricultural production and planning, rural production activities, distribution of products, and purchasing and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n addition, utilization of the means of production and property rights are investigated. All these information are based on existing documents and laws of North Korea.
The third part presents the changes in cooperative farms and rural community after the food crisis in the mid-1990s. This part was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researchers, and experts working at assistance organizations for North Koreans. We tried to find the changes that appeared in the rural society due to the weakening economy and fortified government control. The major changes are the failure of reform taken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e collapse of governmental procurement system, weakening of cooperative farms’ management function, empowered production organization of cooperative farms, and expansion of private economy in rural areas.
The last part suggests North Korea’s agricultural and rural issues, and the direction for inter-Korean agricultural cooperation was sought. A few feasible agricultural cooperation projects and its effects were introduced as measures to seek a desirable cooperation model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4246
-
좋아요0
-
다운로드16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시설원예산업의 재도약 방안 -생산·수출 중심-
- 이전글
- 농업부문 FTA 이행 영향 및 보완대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