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WTO와 OECD에서의 농업보조금 논의동향

목차
제1장 WTO에서의 보조금 논의
제2장 OECD에서의 보조금 논의
참고 문헌
요약문
국내 농업을 보호하기 위해 지급하는 보조금은 UR 협상이후 국제적인 규율의 적용을 받고 있다. 현재 진행중인 DDA농업협상에서는 감축대상 보조금을 추가적으로 대폭 감축하기 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OECD에서도 각국의 농업에 대한 지원을 국제적으로 비교하기 위한 생산자지지추정치(PSE)를 매년 발표하고 있다.
20세기에 들어와 국제 교역을 증진시키기 위한 국제적인 논의는 주로 관세를 감축하고 수출보조금을 제한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UR협상 때부터는 국내보조금 정책도 생산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면 교역을 저해하기 때문에 감축하도록 하는 의무가 WTO 회원국들에 부과되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가격을 지지하는 정책은 감축 혹은 철폐하고, 농가 소득을 직접 지지하는 직불금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최근의 국제적인 추세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UR에서의 보조금 감축한도를 90% 이상 소진해 왔으며, %PSE 수치도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높은 편에 속하는 등 농업보호 수준이 매우 높은 나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우리나라 농업의 선진화 작업의 일환으로 향후 DDA에서의 보조금 추가 감축의무에 대비하고, 다양하게 지급되고 있는 농업보조금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보조금을 개편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WTO에서의 보조금 논의내용과 관련하여 농업보조금 분류와 감축논의 동향, 우리나라의 보조금 운용실적, 주요국의 보조금 제도와 관련규정 등을 다루고 있다. 또, OECD국가에서의 PSE(Producer Support Estimate)의 개념과 내용변화, 2007년 주요국가의 PSE 분석 등을 다루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gricultural subsidies in major WTO and OECD member countries and draw implications for Korean agriculture.
Every WTO member country should notify its implementation results of domestic subsidy reduction commitment to the WTO for review. This report scrutinizes the notified domestic subsidy documents of major member countries of the WTO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n agricultural policy. The US classified direct payments as green box, but the WTO panel judged that cotton direct payment did not conform with the green box criteria in the UR agreement. Many countries have reduced market price support and depend more heavily on decoupled income support. Korea should follow the same trend in agricultural policy reform to overcome market opening. Many countries utilized technical tips that can be adopted in calculating Korea’s domestic subsidy amount in the future.
The OECD has developed the PSE (Producer Support Estimate) as an indicator to measure the amount of support for agriculture in each country. Even though there have been continuous criticisms about the usefulness, PSE has been used as a tool to compare the significance of market distortion between countries. Korea is known to have the almost highest %PSE figure among the OECD members due to high domestic prices. Thus, domestic policy should be transferred to direct payment from market price support and more endeavor is needed to improve marketing efficiency and high tech developmen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2200
-
좋아요0
-
다운로드42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정부양곡 조작요율 산정 연구
- 이전글
- 문경시 농산물 유통체계 종합개선계획 수립